![]() |
▲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경.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비사업 시장이 예사롭지 않다. 곳곳에서 공사가 지연되는가 하면 경쟁이 치열했던 정비사업의 시공사 선정은 유찰을 거듭하고 있다. 심지어 기존 시공사와 시공계약을 해지하는 곳까지 나오는 모양새다.
◆ ‘사업성 하락 우려’ 시공사 입찰포기 속출
2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통해 일반 분양된 물량은 총 2만7,856가구로 2022년 일반분양 물량(3만3,231가구) 대비 16.2% 줄었다.
올해는 정비사업을 통해 일반분양 3만4,112가구가 계획됐다. 다만 이들 가운데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공사비 등 여러 원인으로 일정이 늦어지는 곳들이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는 평가다. 실제 올해 분양 계획된 곳들 가운데 상당수는 지난해 분양 예정이던 곳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그나마 올해 분양을 계획하는 곳들은 오래전부터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 초기 현장들이 많아 신규 아파트 분양이 지연되는 곳들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정비사업 시장이 주춤한 가장 큰 이유는 공사비와 금융비용이 증가해서다. 시멘트, 철근, 레미콘 등을 비롯해 넓게는 인건비 등 공사비를 책정하는 요소들이다. 이들이 대내외 이슈로 매년 가격이 오르면서, 최초 시공계약을 체결했을 때의 공사비와 큰 차이가 발생했다.
건설사 입장에선 치솟은 자재가격을 모두 떠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반면 시행자(조합)는 비용 추가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대치하는 양상이다.
또한 정비사업의 특성상 오랜 사업기간으로 인해 수년 전 시공계약 당시 상품은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기간 조합원들의 눈높이가 높아져 고급화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건설사 입장에선 예상에 없던 비용이 추가되는 셈이다. 건설사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은 수용하겠지만 지나치는 경우 결국 추가비용을 요구하게 된다.
![]() |
ⓒ부동산인포. |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최근 정비사업 현장들은 시공사 선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실제 송파구 ‘잠실우성4차’는 두 차례 시공사 선정 유찰됐고, 결국 지난 2월 말 세 번째 입찰공고를 냈다. 또한 송파구 ‘가락삼익맨숀’ 재건축 입찰엔 건설사 1곳만 참여해 유찰됐고 노량진뉴타운 알짜 입지로 꼽히는 ‘노량진1구역’도 두 차례 시공사 선정이 유찰됐다.
이처럼 사업이 지연되면 분양은 기약 없이 미뤄질 수밖에 없다.
서울 은평구 대조종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올해 1월 들어 공사가 중단됐다. 이미 철거까지 마치고 공정률 20%를 넘겼지만 공사비 분쟁으로 인해 분양 과정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2,400여 세대의 해당 아파트는 1,000가구가량을 지난해 하반기 분양할 계획이었으나 공사비 문제로 분양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결국 시공사와 조합원 간 마찰로 앞으로 분양시장에서 정비사업을 통한 새 아파트는 귀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서울을 비롯한 대전, 부산 등 광역시들의 정비사업들은 인프라를 잘 갖춘 입지로 당장 입주해도 좋은 곳들이 많아 이들 지역에서 나오는 분양 물량을 눈여겨볼 만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