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취약 고위험군 백신접종 여전히 중요”

김영식 / 2024-01-25 10:41:13
코로나19 감염자도 6개월 후 중화항체가 낮아져
▲ 감염 고위험군은 여전히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중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감염에 취약한 고위험군의 경우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 “시간 지나면 백신효과 떨어져”

26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지역사회 기반 대표 표본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참여자에 대한 중화항체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중화항체란 감염이나 백신접종으로 체내에 형성된 항체 중 감염력을 중화(무력화)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이번 분석은 접종력·감염력을 고려해 조사 참여자 514명을 대상으로 최근에 유행하는 오미크론 하위변이주(XBB.1.9.1, BA.1, BA.5, EG.5.1) 등에 대한 중화항체검사를 수행한 결과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백신접종과 감염으로 인한 코로나19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XBB.1.9.1 변이는 1개월 대비 6개월 후에는 3.9배 낮아졌고, 우한주는 2.6배 감소했다. 다만 백신 접종과 감염을 모두 경험한 사람의 중화항체가는 백신 접종만 경험한 사람의 중화항체가보다 높았다.

또한 2022~2023절기 2가 백신 접종군(BA.1, BA.4/5)의 현재 유행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주(XBB.1.9.1, EG.5.1)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대상자가 접종받은 백신(BA.1, BA.5)의 변이주 대비 낮았다.

이번 조사 결과 백신접종자 및 바이러스 감염자에서 코로나19 중화항체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며, XBB.1.5 백신 도입 이전 백신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현재 유행주(XBB.1.9.1, EG.5.1)에 대한 중화능이 낮았다. 이는 2023~2024절기 도입된 XBB.1.5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국립보건연구원은 현재 지역 대표 표본 및 요양병원 입원자 등에서 XBB.1.5 백신의 효과 등에 대해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조사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백신효과는 낮아진다”며 “따라서 감염 취약 고위험군의 보호를 위해 2023년 하반기 국내 도입된 XBB.1.5 백신의 추가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