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매매 시장, 동반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온라인뉴스팀 / 2022-11-07 10:42:30
박종길 세계일보 중앙위원회 조사위원
▲박종길 세계일보 중앙위원회 조사위원
중고차 매매업에 대기업 진출은 몇 가지 측면에서 문제 소지가 있다.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운 대기업이 골목상권뿐 아니라 중고자동차매매업까지 진출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최근 사회 곳곳에서 대기업의 무분별한 내수시장 진출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골목상권을 잠식하면서 영세 자영업자의 생존권을 위협하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규제에 나섰다.

 

하지만 정부 방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골목상권을 장악한 대기업이 중고자동차 시장까지 뛰어들면서 영세 중고자동차 매매 종사자가 고사 위기에 놓이게 됐다.

 

지난해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중고자동차매매업 등 업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폐지하자(제조사 중고차 시장진출)을 통해 거대 공룡을 탄생시켜 중고차 시장을 무섭게 삼키려 하고 있다. 

 

중고차매매업자는 종사자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대책위원회를 구성, `중고차매매시장 대기업 진출 반대위원회`라는 자생단체를 만들어 중고자동차매매업 생존권을 위해 대기업과 맞서 싸워야 한다. 바위에 계란치기라는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바위를 깨는 것은 불도 태풍도 아닌 아주 작은 물방울이다`는 신념을 가지고 위원회는 생존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위원회가 중고차매매시장에 대기업 진출을 반대하는 이유는 막대한 자금력과 조직력을 이용해 열악한 중고차 시장에 스며들어 중소업계 종사자들의 밥줄을 빼앗는 대기업에 맞서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서다.

 

신차 사원(딜러)까지 중고차 알선에 뛰어들어 이득을 취한 반면, 소비자는 제값을 받지 못해 피해를 보고 중고차 매매업자는 거래차익이 줄어들면서 도산 위기에 몰려 있다.

 

중고차매매 업체는 전국에 5000여개가 있고, 업계 종사자만도 5만 여명에 이르며, 자동차관리법 제68조에 의거해 국토해양부에 등록된 산하 단체로 40년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들어 계속되는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업계 전체가 불황 극복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은 법률에 따라 정책자금을 지원받아 사업하고 있지만, 중고차매매업은 정책자금 융자 제외 업종으로 분류돼 아무런 혜택도 받지 못해 운영자금이 필요하면 고금리 캐피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와중에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잠식은 영세업을 말살시키려는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국내 중고자동차매매시장에서 현대글로비스 경매장은 시장점유율과 매출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는데 막대한 자금을 풀어 TV광고까지 하면서 시장잠식율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고자동차 매매시장 생존권을 확보하기 위해 대책위원회를 가동해 생존권 확보를 위해 대기업의 중고자동차 매매시장에서 퇴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적절하고 투명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신뢰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다.

 

대기업의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흔들아, 영세업체나 소규모 업체가 도산하게 되면 결국 대기업이 독과점한다. 그렇게 되면 시장 자율경쟁보다는 담합 등으로 이들 대기업은 폭리를 취하고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따라서 건전한 상거래질서 확립과 소비자, 중고차매매업자 보호를 위해 중고차매매업 대기업 진출을 제도적으로 막을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온라인뉴스팀

온라인뉴스팀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