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건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물산에 대한 특별감리 가능성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사진=삼성물산 홈페이지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금융위원회 증선위가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의 분식회계를 결론 낸 가운데, 3년 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건에 대한 의혹이 재점화 하고 있다.
결국 꼭짓점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승계 과정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 이어지면서 삼바 모기업인 삼성물산에 여론의 칼끝이 향하고 있는 양상이다.
삼바 분식회계 의혹을 최초 제기한 시민단체 참여연대는 지난 2015년 합병 당시 삼성물산 회계처리를 조사해 달라고 금융감독원에 특별감리 요청서를 22일 제출했다. 참여연대는 삼바 분식회계와 합병 건의 연관 가능성을 그간 꾸준히 주장해왔다.
삼성물산은 합병 당시 마무리 과정에서 삼바 평가를 회계법인에 의뢰했으며, 이에 안진회계법인은 2015년 8월 기준 보고서에 삼바 가치를 6조9,000억 원으로 평가했다. 참여연대는 삼바 측이 이 평가액에 맞추기 위해 고의적으로 분식회계를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특히 평가자인 안진회계법인의 오락가락한 삼바 평가액 자체도 의구심을 더하고 있다.
합병 마무리 단계에선 6조9,000억 원으로 평가했던 안진회계법인은 합병 전인 그해 5월에는 무려 19조 원으로 평가해, 불과 3개월 사이 약 세 배에 달하는 평가액 차이가 존재한 셈이다.
해당 보고서는 합병 당시 국민연금의 찬성표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참여연대는 또 삼성물산이 합병으로 자신의 종속회사로 새로 편입된 삼바가 바이오젠에 대해 부담하고 있는 ‘콜옵션 부채’를 적정하게 계상했는가 하는 점에도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삼성물산이 2015년 재무제표에서는 삼바가 보유한 콜옵션을 명확히 1조8,000억 원으로 인식해 사업결합 회계처리에 반영했다”면서 “그러나 2015년 3분기 보고서에서는 관련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금융당국은 즉각적 대응은 자제하면서도, 삼성물산에 대한 감리 가능성에 대한 여지는 남겨둔 상태다. 앞서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검찰 수사과정에서 삼바의 고의성 여부가 드러났을 경우를 전제해 “감리 실시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안진 등 삼바에 대한 회계보고서를 발주한 곳이 삼성물산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다.
MBC 단독보도에 따르면 삼바 가치를 평가한 회계법인 보고서를 발주해 건네받은 곳은 삼성물산이고, 해당 보고서 내용이 분식 혐의로 이어지게 된 근거로 작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안진회계법인이 2015년 10월 삼성물산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내부참고용이 명기됐고, 따라서 다른 목적이나 제3자 이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문제는 보고서 핵심 내용인 삼바 자회사 에피스의 가치 5조7,000억 원 평가액이 삼성물산이 아닌 삼바 홈페이지에 게시됐다는 점이다. 외부인 사용 시 오용‧악용 소지가 농후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해당보도에 따르면 에피스 평가액은 삼바 내부 문건에서도 등장한다. 2015년 11월 삼바는 에피스 가치를 5조3,000억 원으로 평가해 회계처리 변경을 검토했고, 결국 에피스는 기존 자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됐다.
증선위는 앞서 이 부분에 문제를 지적, 결국 분식회계의 고의성을 주장한 바 있다.
결국 삼바 분식회계 사건 관련 시민사회 등 여론이 지속적으로 악화 중인 가운데, 합병 의혹의 핵심인 삼성물산에 대한 특별감리 가능성 역시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