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역대 최다치를 기록한 11일 오전, 서울 중구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한 시민이 검사를 받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내 코로나19 창궐 이후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간 우려돼온 2,000명 선을 훌쩍 넘는 확진자가 전국에서 쏟아진 가운데, 별다른 감소 요인이 발견되지 않는 현 시점 사망자 및 위·중증 환자 수까지 늘어나고 있어 우려가 더욱 커진다.
◆ ‘확산세 지속’ 전망 우세
1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2,223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2,145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78명이다.
이처럼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2,000명을 넘은 건 지난해 1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569일 만에 처음으로, 특히 전날 1,537명 대비 686명이나 대폭 늘어난 수치다. 지난달 7일 시작된 4차 유행 이후 일일 확진자 수로는 36일째 1,000명 이상 네 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앞선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치 연장, 3인이상 사적모임 금지 등 잇단 고강도 방역 대책에도 이번 4차 대유행 확산세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양상이다.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5일 1,775명을 시작으로, 1,704명→1,823명→1,728명(1,729명에서 정정)→1,492명→1,537명→2,223명을 기록했다. 이는 1주간 일평균 1,755명 발생한 셈으로, 지역 발생으로는 하루 평균 1,694명에 달한다.
특히 이날 집계에선 수도권 폭증이 눈에 띈다.
지역별로 서울 650명, 경기 648명, 인천 107명 등 수도권이 총 1,405명으로 전체의 65.5% 감염 비중을 차지했다. 전날 800명대 초반까지 떨어졌던 수도권 확진자는 이날 무려 1,400명대까지 치솟았다. 수도권 역시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치를 보였다.
비수도권 확진자 수는 총 740명(34.5%)으로 경남 139명을 비롯해 ▲부산 125명 ▲충남 84명 ▲대구·경북 각 66명 ▲충북 54명 ▲울산 48명 ▲대전 42명 ▲전북·제주 각 28명 ▲강원 19명 ▲광주 17명 ▲전남 16명 ▲세종 8명 등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폭증하는 환자 수에 비례해 위중증을 거쳐 사망자 또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향후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한 상황에서 추가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고 수위인 거리두기 단계 연장으로도 4차 유행의 장기화를 막아내지 못하면서 인공호흡기나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 등 치료가 요구되는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 기준 379명까지 치솟았다.
이는 전날 367명 대비 무려 12명이나 증가한 셈으로, 4차 대유행 이후 최다다. 지난 3~4월 기간 100명 수준에 머물렀던 국내 위중증 환자 수가 불과 몇 달 만에 3~4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달 5일 집계된 위중증 환자 수 369명은 직전일 기록한 329명 대비 무려 40명이 한꺼번에 늘어나기도 했다.
이처럼 위중증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사망자 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치료 중 숨졌거나 사후 확진 판정을 받은 사망자는 전날 9명, 이날 0시 기준으로 1명으로 이틀 새 10명을 기록했다. 특히 10일 사망자 수는 4차 대유행 이후 최다치다.
이런 상황에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휴가철에 이어 광복절 연휴, 초중고교 개학 등 향후 추가적인 확산 요인이 남아 있는 만큼 향후 지금보다 확진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아직 확산세의 정점을 찍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전파력이 더욱 강한 ‘델타’ 변이가 이미 국내서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지역사회 곳곳에 스며들면서 거리두기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일각에서 현 시점 정부의 방역대책에 실효성이 확인되지 않는 만큼 현행 대비 더 강한 조처인 야간 통행금지나 도시 봉쇄와 같은 해외 사례를 들여야 한다는 의견마저 나오는 이유다.
한편, 정부는 백신접종 대책 관련 모더나사의 일방적인 ‘절반 공급’ 통보에 유감을 표시하고 대표단을 보내 협상에 임할 방침이다. 다만 하반기 모더나 백신의 공급량 감소는 불가피해 보여 접종계획에도 당분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