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지난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체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한다고 밝히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의료계 집단행동이 본격화한 가운데 전국 대학병원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움직임이 거세게 일고 있다. 현시점 전국 전공의 6천 명 이상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 근무지 이탈도 가시화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열고 전날 오후 11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점검한 결과, 소속 전공의의 절반을 넘는 55%(6,415명)가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특히 사직서 제출자의 25%(1,630명)에 달하는 전공의들은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들 전공의의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은 상태다.
복지부는 이미 명령을 발동한 전공의를 제외한 남은 728명 인원에 대해서도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이 같은 정부-의료계 간 강대강 대치에 애꿎은 환자 불편은 가시화하고 있는 모양새다.
정부에 따르면 전날부터 운영한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 상담 사례는 총 34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수술 취소 25건, 진료예약 취소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 등으로 집계됐다.
박 차관은 “정부는 이같은 피해사례를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환자 치료에 공백이 없도록 신속히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소송 지원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공의들은) 환자 곁으로 돌아가주기 바란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면서 “여러분의 뜻을 표현하기 위해 환자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일은 정말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