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산업도 생존 기로”…‘입찰지연 빈번’ 개선 목소리

김영식 / 2021-09-09 11:21:49
한국학생복산업협회 “교복산업 전반 경영 악화 심각”
▲ 학령인구 감소, 코로나19 장기화, 학교주관구매 입찰 지연까지 교복업계 삼중고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속적인 학령인구 감소와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내 교복업계가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년 되풀이되는 ‘학교주관구매’ 입찰 지연까지 겹치면서 업계는 장기간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 국제여건 원가 미반영…“교복 상한가 현실화해야”

학생복 생산기업 등 관련 회원사 670곳이 가입된 한국학생복산업협회(이하 협회)는 9일 자료를 내고 “빈번한 입찰 지연은 교복산업 전반의 경영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날 협회가 발표한 ‘2021학년도 전국 시도 교육청별 입찰 현황’에 따르면 ‘학교주관구매’를 실시 중인 3,235개 학교 중 8월 말 이전 업체를 선정한 학교는 전체의 7%(213개)에 불과했다. 이는 전년 대비(2020학년도) 226개 감소한 수치다.

협회에 따르면 교복 생산을 위한 원단 주문부터 최종 납품까지 약 5~6개월 소요된다. 그런데 입찰이 늦어져 발주가 지연되면 여름 교복 생산이 완료되는 6월부터 9월 이후까지 일감 공백이 발생, 결국 공장 가동률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해 경영 위험도를 높인다.

게다가 교복 생산이 4분기(10~12월)에 집중되면서 업체의 납기 부담은 가중됐다. 이에 따라 무리한 납기 요구로 인한 특근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된 ‘교복 학교주관구매 제도’는 학교가 입찰을 통해 교복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일괄 구매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현재 전국 국공립 중·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는 각 학교에 전년도 8월 말까지 납품업체 선정을 마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협회 조사 결과, 학교주관구매제가 실시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휴폐업한 협력업체(원단·부자재·봉제공장 등)는 총 100곳에 달했다.

업계 빅4로 꼽히는 교복 브랜드사(엘리트·스마트·아이비클럽·스쿨룩스)의 대리점 상황도 녹록지 않다. 동 기간 휴·폐업한 브랜드사 대리점은 총 132곳으로, 대리점 수는 주관구매제 시행 이전인 2014년 대비 약 18.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교복 상한가’ 현실화에 대한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2022년도 교복 학교주관구매 상한가는 30만8,400원으로, 전년 수준 동결됐다. 미국의 중국산 면화 수입금지 조치에 따른 면화 공급 부족으로 글로벌 면화값이 올랐고, 코로나19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으로 폴리에스터 원료 가격도 높아졌음에도 원가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협회 관계자는 “학생수 감소와 주관구매 상한가 제한, 최저가 입찰 문제에 입찰 지연 문제마저 계속 반복될 경우 교복산업 붕괴가 우려된다”며 “생존 위기에 직면한 교복업계를 위해 교육부·교육청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