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재 의원은 신규 사업으로 반영된 해양수산과학관 3D 영상관 리모델링과 관련하여 “현재 3D 영상관이 운영을 중단한 상태인데, 관객 감소에 따른 중단인지, 방치된 것인지 명확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해양수산과학원 김충남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3D 영상관 운영이 중지된 후, 프로그램 개편과 새로운 콘텐츠 도입이 이뤄지지 못해 현재까지 중단 상태”라며, “리모델링 공사와 함께 3D 파노라마 등 신규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예산을 들여 전시공간을 보수·보강하고 3D 시스템을 교체하는 것에 그치지 말라”며, “실질적인 전시 활성화를 통해 실제 관람객 증가로 이어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의원은 해양수산과학원 각 지원의 전기안전관리비 예산 편성 문제도 짚었다.
박 의원은 “전기안전관리비는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물가 및 인건비 상승을 감안하면 완만히 상승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일부 지원의 예산은 2024년 약 700만 원에서 2025년에는 630만 원으로 감소했다가, 2026년에 840만 원으로 다시 오르는 등 예산 출렁임이 심해 예산 편성 기준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장기계약에 따른 할인, 다수계약 고객 할인, 자동이체 할인 등 다양한 할인요인이 반영되면서 금액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원인 분석에 나서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할인요인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예산 증감 추세는 비슷하거나 소폭 상승해야 하며, 특정 연도에만 예산이 급감했다가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은 계약·요율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신호”라며, “모든 지원의 계약과 예산 운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