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물 안전정보, 디지털 빅데이터 구축

이효진 / 2020-08-12 14:44:57
국토부·시설안전공단, 시설물 안전정보 DB화 사업 착수
▲ 시설물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시설물의 노후화가 심화되고, 호우·폭염 등 기상이변이 속출함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적·체계적인 시설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시설안전공단은 교량·터널·건축물 등 시설물을 과학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시설물 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는 사업에 착수한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화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 PDF 책자 형태로 제출된 안전진단 보고서에서 균열, 콘크리트 강도 등 중요한 정보를 선별해 시스템에 입력하는 사업이다. 

시설물의 결함, 콘크리트 강도 등의 값을 DB화함으로써 시설물의 상태 변화, 개량시기 분석, 설계기준 갱신 등 유지관리 정책수립에 활용한다. 

그동안 시설물 관리주체가 제출한 안전진단 보고서는 관리주체의 안전진단 실시 여부를 확인하거나, 부실진단 여부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주로 활용됐으나, 최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 등으로 시설물 안전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시설물 안전정보를 DB화 할 수 있도록 지난해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2018~2019년 재구축했으며, 올해는 시설물의 안전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기존 시스템은 주로 시설물 관리주체의 안전진단 실시 여부와 그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했으나, 최근 기후변화와 시설물의 노후화 등이 시설물 안전을 위협하고 있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적 안전관리가 가능토록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를 재구축한다. 

정확한 정보를 선별·입력할 수 있도록 토목·건축학과가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사업수행기관을 공모한 결과, 총 35개 대학(2,968명)이 지원했으며, 심사를 통해 총 31개 대학(2,300명)을 선정했다.

한편, 오는 13일부터 진행하는 본 사업은 코로나19 감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비대면 방식으로 추진함으로써 참여자 접촉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시설물 안전관리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시설물의 보수·보강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설계기준을 갱신하는 등 시설물의 붕괴 등 위협으로부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효진

이효진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