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 국제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한반도 안보 위협 상황을 우려하는 시민불안을 덜어주고, 유사시를 대비해 사전에 가까운 대피공간을 확인해 둘 수 있도록 ‘우리동네 민방위대피소’ 찾는 법을 안내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평상시 자택, 직장, 학교 등 생활거점 주변의 대피소를 숙지할 수 있도록 ‘내 주변 민방위대피소 알기’를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폰 네이버·다음 포털사이트나 네이버지도·카카오맵·티맵 등 지도 앱에서 ‘민방위대피소’를 검색하면 현재 내 위치를 중심으로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카카오톡 서울시 채널에서 ‘우리동네 민방위대피소는 어디’를 누르면 ‘안전디딤돌 앱’ 포함 모바일앱·웹 등을 통해 대피소를 확인하는 방법도 안내 중이다.
■ 11월까지 민방위대피소 일제 점검, 시민이 직접 보완점 접수해 개선
서울시는 오는 11월까지 자치구와 함께 공공·민간 민방위대피소 일제 점검에 나선다.
대피소 내·외부 적재물 제거, 출입구 확보 등 부적합한 시설을 개선하고 대피기능을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현황을 모니터링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대피소를 방문한 시민으로부터 120다산콜센터, 자치구(동주민센터)로 대피소 내·외부 보완점을 접수받아 개선하는 등 시민과 함께 지속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연말까지 민방위대피소 내 손전등·구급함 등도 비치한다. 시민불안을 해소하고자 25개 자치구에 특별교부금을 지원, 대피소 내부에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상용품을 비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시내에는 현재 약 3,000개소의 민방위대피소(자치구 평균 약 120개)가 있다.
시는 비상용품이 구비되지 않은 대피시설은 조속히 필요한 용품을 비치하게끔 조치하고, 대피시설이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해 줄 것을 자치구에 요청했다.
■ 민간 대피시설 운영 시 인센티브 등 정부 건의
한편 서울시는 지하철 등 공공시설을 활용한 민방위대피소 외에 아파트·오피스텔 등 민간 소유 대피시설이 평상시 잘 관리될 수 있도록 대피시설 운영 시 재산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 지원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중앙부처에 건의했다.
또 민방위법 제정 당시 적용된 1인당 대피면적(0.825㎡)을 상향해 변화한 국민 평균 체형에 적합하게끔 대피면적을 넓히고, 전방지역 및 서해5도 지원시설에 적용되는 규모의 예산이 서울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