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지역 첫 교실형 안전체험관인 부산 와석초등학교 어울림 안전체험관에서 어린이들이 소화기 사용법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조정현 기자] 국내 재난안전 산업 규모는 41조원 이상으로 커지고 있으나 소규모 업체가 많고 대부분 내수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국내 재난안전관련 사업체 수, 매출액, 종사자 등 전반적인 규모와 현황을 2017년 기준으로 조사한 ‘2018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2015년을 기준으로 2016년도에 처음 실시했으며, 2018년에는 과거 업종별로 분류하던 특수분류체계를 재난관리체계별로 개편해 새롭게 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재난안전산업 관련 사업체는 총 5만9,251개, 매출 규모는 41조8,537억원, 종사자는 37만4,166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과 비교해 사업체 수는 9,787개사(19.8%), 매출액은 5조2,917억원(14.5%), 종사자는 5만3,284명(14.2%) 증가했다.
행안부는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체계가 달라졌고 당시 포함되지 않았던 ‘교통사고 관련 예방산업’, ‘테러 관련 산업’ 등이 신규로 포함되는 등 재난안전산업의 범위가 확대돼 단순비교는 어렵다”며 “앞으로는 동일한 기준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전산업 관련 사업체(총 5만9,251개) 중 업종별 사업체 수는 ‘재난대응산업’(1만8,186개, 30.7%)과 ‘사회재난 예방산업’(1만7,510개, 29.6%)이 전체 사업체의 60.3%에 달했다.
세부적으로는 피난용 사다리, 화재진압용 로봇·무인기 등을 생산·판매하는 ‘재난지역 수색 및 구조·구급 지원 산업’(1만906개사, 18.4%), 야광복·안전모·차량용 안전유리·스크린도어·폐쇄형 카메라 등을 생산·판매하는 ‘교통사고 관련 예방산업’(6,778개사, 11.4%)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산업 관련 사업체 중 연 매출액 5억원 미만이 49.1%에 이르고 사업체당 매출은 7억1,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돼 사업체는 소규모 기업 위주였다.
전체 매출액 41조8,537억원 중 업종별로는 ‘재난대응산업’(12조8,062억원, 30.6%), ‘사회재난 예방산업’(11조6,700억원), 기타 재난관련 서비스업(7조4,319억원, 1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독약품, 산소호흡기, 소독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재난대응 의료 및 방역 관련 산업’(13조2,442억 원, 31.6%), ‘재난지역 수색 및 구조·구급 지원 산업’(11조7,066억 원, 28.0%), ‘재해보험 서비스업’(10조5,416억 원, 25.2%) 등의 순이었다.
전체 매출액 중 수출액은 1조1,457억원이며, 전체 사업체 중 1.4%만이 수출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돼 대부분 내수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안전산업 분야 총 종사자 수는 37만4,166명이며, 성별로는 남성이 24만6,102명(65.8%)으로 12만8,064명(34.2%)인 여성보다 약 2배 정도 많았다.
주요 업종별로는 ‘재난대응산업’(14만0,918명, 37.7%), ‘사회재난 예방산업’(8만7,753명, 23.5%) 순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재난대응 의료 및 방역 관련 산업’(7만3,614명, 19.7%), ‘재난지역 수색 및 구조·구급 지원 산업’(3만9,873명, 10.7%) 등의 순이었다.
재난안전산업 관련 사업체들은 애로사항으로 초기투자비용 부담·판로개척의 어려움 등을 꼽았고, 정부에 바라는 바로는 저리 자금지원·업체 연계·채용 장려금 지원 등을 들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안전관련 규제 및 국민안전 교육과 더불어 재난안전기술과 재난안전산업 육성이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한다”며 “앞으로도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