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로컬타임즈] 지난 16일 발생한 오산시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는 단순한 도로 사고를 넘어, 도시 기반시설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오산시는 즉각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초기 구조 활동과 교통 통제, 유가족 지원 등 신속 대응에 나섰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사고 발생 직후 간부회의를 통해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히며 공직자들에게 현장 중심 대응을 강조했다.
이후 시는 지난 21일 사고수습대책본부를 구성하며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사고수습대책본부는 이 시장을 본부장으로, 총괄반, 법률·피해자지원반, 대응협력반, 복구반, 공보지원반 등 5개 기능별 조직을 편성해 상황별로 대응하고 있다.
사고 직후부터 오산시는 서부우회도로 통제 구간에 대한 정보를 재난안전전광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민에게 전달했다. 또한 시 공식 SNS 채널과 IPTV를 활용해 시민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지속적인 안내를 병행하고 있다.
특히 사고 지점인 가장교차로 하부 오산~화성 정남 간 양방향 도로는 사고 후 통제됐으나, 안전이 확인된 뒤 22일부터 통행이 재개됐다. 이와 함께 초평동과 금암교차로 등 주요 진·출입부에는 물통 울타리와 차단 펜스를 설치하고, 시 공무원들이 현장에 상주하며 안전 관리에 힘쓰고 있다.
이번 사고의 근본 원인을 둘러싼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는 서부우회도로 전 구간에서 동일한 공법으로 시공된 옹벽 36개소(총 4.3km)에 대해 긴급 정밀안전진단을 예고했다. 진단은 다음 주 초 발주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 옹벽은 모두 ‘보강토 공법’으로 시공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고 현장 또한 해당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 공법이 비교적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배수 처리 미비 시 구조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산시는 이번 기회를 통해 해당 옹벽뿐만 아니라 유사한 공법이 적용된 다른 지역 시설물에 대해서도 전수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또한 조사 결과에 따라 필요 시 구조물 교체 또는 보강 공사에 나설 계획이다.
오산시는 피해자 및 유가족에 대한 장례 지원과 상담 등 정서적·경제적 지원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법률·피해자지원반이 전담 부서로 구성돼 접수된 민원은 24시간 내 응대하고 있으며, 장례 지원금과 생계비 지원 방안 등도 적극 검토 중이다.
이 시장은 “유가족에 대한 위로와 배려는 행정의 기본 책무”라며 “행정 편의가 아닌, 피해자의 관점에서 끝까지 책임 있는 자세로 대응하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시는 공직자들의 복무 태세 점검에도 나섰다. 이 시장은 “이번 사고는 단지 인프라의 문제가 아니라, 공직 사회의 책임감과 시민에 대한 태도를 돌아보게 만드는 사건”이라며 “모든 공무원들은 복무규정과 행동강령을 철저히 지키고, 시민을 위한 실질적 대응에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사고 수습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시민들은 빠른 복구와 함께 철저한 원인 규명, 그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도시기반시설의 총체적 안전 점검과 함께, 위기 상황에서의 시정 대응력에 대한 사회적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행정의 대응 속도와 투명성, 구조물의 내구성 등 다방면에서 도시 안전의 허점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이러한 위기가 근본적 시스템 개선의 계기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산시는 향후 안전 분야 예산을 대폭 증액하고, 시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해 보다 투명한 재난 대응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고가 단순한 일회성 위기로 끝나지 않고, ‘더 안전한 도시 오산’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