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위기론↑…“짙게 드리운 한진해운 그림자”

김영식 / 2018-11-28 12:37:13
수조원 혈세 지원에도 요원한 경영정상화…‘밑 빠진 독’ 양상
▲ 수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국민 혈세 투입에도 좀처럼 경영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대상선에 대해 일각에선 이미 파산한 한진해운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사진=현대상선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현대상선이 올 3분기 또 다시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14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파산한 한진해운의 뒤를 따를 수 있다는 위기론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이미 오랜 기간 산업은행을 통해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됐음에도 여전히 경영정상화의 길은 요원한 데다 명확한 해결점조차 보이지 않는 상태다. 회계법인 실사 결과 현대상선은 정부 지원이 없음을 전제로 내년부터 완전자본잠식에 빠질 것이란 분석까지 나왔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일회계법인은 최근 현대상선에 대한 경영 실사 보고서를 관계기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의 핵심은 현대상선 자산이 내년부터 부채 규모에 미치지 못하면서 추가적인 정부 지원 없이는 자본잠식 상태에 처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보고서는 현대상선 부채 규모가 올해 2조5천490억 원에서 내년 3조3천207억 원으로, 다시 2020년엔 5조2천171억 원 크게 뛸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6조2천304억 원, 2022년 6조666억 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다.

현대상선의 올해 자산은 3조262억 원 수준으로 결국 특단의 조치가 없을 경우 2019년부터 자산이 부채에 못 미치는 자본잠식률 100% 이상의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불가피해 보인다.


앞서 금융당국은 현대상선에 대한 지원 규모를 해당 보고서의 ‘2022년 6조 원 수준의 부채’ 등을 근거로 ‘6조 원’으로 책정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보고서의 이 같은 결과도 업황의 낙관적인 전망을 전제로 책정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는 점이다.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해당 보고서를 자체 입수해 분석한 결과 작성 주체인 삼일회계법인조차도 ▲화물주 네트워크 ▲해외 영업망 ▲영업 전략 등 전략적 부분에 대한 검증은 추정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대상선은 총 47개 노선에서 무려 16곳이 적자 상태로, 이 같은 영업력을 기반으로 자금을 어디서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방안에 의구심이 든다는 것이다. 결국 정부가 책정한 6조 원 지원을 넘어 추가분이 투입될 가능성이 커지는 대목이다.


업계에선 이미 현대상선에 대한 위기론이 장기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5년 정부가 해운업 구조조정을 본격화할 당시 1위 기업인 한진해운 대신 현대상선을 살리기로 한 결정 자체부터 회의적인 시선들이 존재했던 게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1조 원 규모의 유동성이 부족했던 한진해운은 파산한 반면, 지금까지 약 2조 원의 혈세를 쏟아부은 데다 또 다시 6조 원의 추가 지원이 예고된 현대상선은 여전히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산업은행은 현대상선에 한진해운 파산 직후 2조 원을 긴급 수혈한 바 있다. 게다가 적자가 누적된 현대상선이 내년과 2020년 이미 상환 유예된 일반공모채 만기 도래와 함께 선박금융 상환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현대상선의 위기론이 강하게 일자 산업은행은 현대상선의 경영혁신을 강하게 주문하고 나섰다. 앞서 이동걸 산은 회장은 현대상선 일부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 문제를 집중 제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이 회장은 최근 “자본 투자만 한다고 자동으로 경쟁력이 강화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자본 투자로 필요조건을 갖추게 됐으나, 충분조건은 경영혁신을 통해 영업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실적이 나쁘다면 직원을 해고하는 고강도 경영혁신을 추진할 것”이라며 “안일한 임직원은 즉각적으로 퇴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업계에선 이 회장 발언을 둘러싸고 세 번째 연임에 성공한 유창근 사장을 비롯해 현대상선 일부 임직원들의 ‘모럴 해저드’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한진해운 대신 유일한 국적선사로 선택된 시점부터 현대상선은 자구노력의 의지가 부족했을 것”이라며 “이제부터라도 정부에 일방적으로 기대는 모습이 아닌 스스로 환골탈태하는 각오를 보여야 무너진 국민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