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속출’ 대구시, 조정대상지역 해제 건의 검토

김영식 / 2021-06-23 12:48:32
아파트 매매거래 뚝…조정 전 대비 10분의 1 수준
▲ 대구시청사 전경.(사진=대구시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미분양 단지가 속출하고 있는 대구시가 조정대상지역 해제 건의를 검토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역 부동산 시장에 숨통이 트일지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이달 말 국토부 해제 요청 계획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대구시는 이달 말까지 국토교통부에 지역별 조정대상지역 지정 해제를 요청하기로 하고, 현재 구·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대구시 총 8개 구·군 가운데 달성군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조정대상지역 해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 동구·남구·서구는 모든 지역의 해제 의견을 제시했으며, 중구·북구·달서구·수성구는 일부 지역에 대한 동 단위 규제 필요성을 전달했다.

대구시의 이런 조치는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지난해 12월을 기점으로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진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18일 조정대상지역 이후 대구 부동산 시장은 다소 위축된 모습으로, 거래 감소와 미분양 확대, 분양성 악화 등 현상이 이어졌다.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대구시 아파트 주간 매매거래 지수는 지난 14일 기준 ‘4’를 기록했다. 조정대상지역 지정 직전인 지난해 12월 14일 47.1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이는 특히 제주도 등을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 중 최저치다.

미분양 적체도 시작됐다. 부동산114 렙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280가구까지 감소했던 미분양 물량이 1월부터 서서히 증가해 4월 기준 897가구가 쌓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국 기준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째 감소 중이다.

새 아파트 분양 시장 성적도 저조하다. 부동산114 렙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대구 내 민간분양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8.5대 1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33.92대 1에 비해 크게 떨어진 수치다. 총 청약자 수는 6만1,436명으로, 지난해 동기 12만8,711명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일각에선 대구시의 이번 요청 검토와 관련해 앞선 부산 사례에 비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부산에서는 지난 2019년 이른바 ‘해·수·동(해운대구·수영구·동래구)’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며 매매량 증가 등이 뒤따랐다. 이에 대구 역시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핀셋 지정이 적용될 경우 활기를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부산 지역은 지난 2017년 8·2대책으로 해운대구·수영구·동래구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됨과 동시에 부동산 침체기로 접어들었다. 2019년 11월 부산시의 지속적인 요청에 정부는 결국 이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했고 시장도 활력을 되찾았다는 평가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은 그해 11월 2주차 전주 대비 0.1% 상승률을 기록했다. 8·2대책 발표 직후인 2017년 9월 1주차 이후 주춤해온 부산 집값이 2년 2개월, 113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대구 지역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난 1월 주택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읍면동 단위 핀셋 규제가 법적으로 가능해진 상황”이라며 “대구시 전역이 아닌 필요에 따라 동 단위 핀셋규제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불장’은 지나가고 신규 공급 세례 속에서 실수요자 위주로 시장이 재편된 만큼 과도하게 적용된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한 새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