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가 진단키트는 면봉으로 콧속에서 검체를 채취, 진단 시약에 넣는 방법으로 양성 여부를 판단한다. (사진=광주 북구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이배연 기자] 정부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자가검사키트의 정확도가 낮아 PCR 검사를 대체할 수는 없고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입장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민감도라고 하는 것은 코로나19 양성 환자를 양성으로 판정해내는 비율을 말하고 민감도가 낮다고 하는 경우는 음성으로 나온다 하더라도 그 음성이 진짜인지 확신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민감도는 양성 확진자를 양성으로 판명하는 확률이고 특이도는 음성 확진자를 음성으로 판명하는 확률이다. 민감도가 낮다는 것은 양성 확진자를 양성으로 판명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에서 사용 중인 신속항원검사키트와 현행 진단검사(RT-PCR) 결과를 비교하자 신속항원검사키트의 특이도는 100%였지만 민감도가 17.5%로 분석됐다. 민감도 17.5%는 실제 감염된 환자 10명 중 8명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유흥시설 등 업종별로 영업 제한 시간을 완화하고 자가검사키트로 검사 후 출입을 허용하겠다며 이른바 '서울형 상생 방역'을 발표했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신속 PCR 검사 방식에 대해 "기본적인 원칙은 허가받은 제품에 대해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