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준환 서울시의원이 지난 15일 제274회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에 개화마을 용도지역 상향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의회>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16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황준환(자유한국당, 강서3) 의원이 지난 15일 제274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강서구 개화마을 용도지역 상향을 요구했다.
황 의원은 박원순 서울시장을 상대로 한 시정질문을 통해 "그린벨트 해제 후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강서구 개화동 집단 취락지역에 용도지역상향 등을 허용하는 도시관리계획 가이드라인 용역 시 개화동 556-59 일대를 제1종전용주거지역에서 제1종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해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개화동 집단취락지역은 상사, 부석, 신대, 내촌, 새말마을 등 5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1979년 취락구조개선 사업 이후 38년이 지나 주택, 상수도, 각종 설비가 노후화 돼 있고 심각한 노후화로 주택의 수리가 어려워 50%의 건폐율과 100%의 용적률을 적용받고 2층 이하의 층수만 허용되는 곳이다.
황 의원은 "그린벨트 해제 전에는 여러 주민편의시설이 있었으나 지금은 흔한 슈퍼나 마트 조차 없는 상태"라며 "인천공항고속도로 마을관통, 지하철 차량기지, 버스공영차고지, 가스충전소 등 주민기피시설을 수용했음에도 보상은 커녕 1종전용주거지역으로 묶여 지역발전은 고사하고 퇴락하는 마을로 전락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포공항, 아라뱃길, 10차선의 육상교통, 향후 김포공항역은 5개 노선의 지하철 환승 등 다양한 교통체계가 있어 국토의 효율적 이용측면에서 용도지역 상향이 절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원순 시장은 현재 진행 중인 도시관리계획수립 가이드라인 용역 결과가 나오는대로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황 의원은 "그린벨트로 지정되어 각종 개발이 규제를 받아왔고 취락구조 개선도 자기 토지 20%를 기부채납하며 강제로 시행되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4층이하, 건폐율 60%, 용적률 150%, 근린시설허용을 포함한 제1종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 상향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박원순 시장과 관계 공무원이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