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남권 공공기관 3곳의 강북 비도심권으로 이전 계획표.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서울시공무원노동조합과 서울시가 인재개발원·서울연구원·서울주택도시공사 등 강남권 공공기관 3곳의 강북 비도심권 이전 계획을 놓고 갑론을박을 펼쳤다.
3일 서울시공무원노조는 강남권 공공기관 3곳의 강북 이전 계획은 강북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현재 서울시 공공기관의 70%가 강북권인 상황에 꼭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만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또한 “인재개발원의 이동 예정지가 가오리역 등 접근성이 양호하고 인근에 국립공원이 자리해 교육환경이 좋다는 설명도 황당한 수준”이라며 "전철역 접근성이 좋은 것은 서울시 전역이 해당되는 얘기고, 국립공원 덕에 교육환경이 좋다는 논리도 ‘교육은 경치만 좋은 곳이면 된다’라는 기이한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인재개발원 직원들을 의사결정과정에서 소외시킨 서울시의 방식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지금까지 인재개발원을 중심으로 가족생황을 영위해 온 직원들을 소외시킨 것은 절차적 민주주의에서 어긋난 ‘시장이 결정하면 무조건 따르라’는 식의 개발독재나 다름없다는 것.
이어 서울시공무원노조는 “박원순 시장은 현재 계획을 즉각 중단하고 보다 폭 넓고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노조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이같은 서울시공무원노조의 강도 높은 비판에 서울시가 반박에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23일부터 이전 부지 선정이란 주제를 놓고 해당 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회의를 약 18회 운영하는 등 논의 과정을 충분히 거쳤다"며 "개발독재는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기관 특성상 주변지역과 연계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이미 검토된 사항”이라며 ”그럼에도 "강북 영어수유캠프 부지는 인근에 국립공원 등이 자리해 교육을 위한 정온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교육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항변했다.
비용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인재개발원의 건물 노후화로 인해 매년 시설보수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최근 교육과 채용인원이 증가하고 있기에 교육시설과 채용시설을 기능적인 면에서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