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필응 대전시의회의원(바른정당·동구3) |
[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대전시가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시 시민 안내문자 예산이 수년째 1회 15만원을 책정해 놓고 일부 기관·단체에게만 문자발송하는 안전불감증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또 대전시민이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을 받아 대비할 수 있도록 시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의회 안필응 의원(바른정당·동구3)은 10일 환경녹지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미세먼지 발령시 1회 15만원 예산으로 일부 기관·단체·시민에게만 문자발송하는 대전시의 시민 안전불감증에 대해 심각한 지적이 제기됐다.
안 의원은“대전시의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문자안내 대상이 2015년 4010건, 2016년 4541건, 2017년 4541건 씩 발송했다”면서 “시는 이같은 주의보 발령(문자안내 대상)을 예산부족의 이유로 대부분 주요 기관, 단체 및 일부 시민에 한정해 보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대전시는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니라면 미세먼지의 위해성이 날로 심각해져 가는 상황에서 대시민 홍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제한적 홍보를 한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진정 시민의 안전에 대한 책임감과 의무감을 갖고 정책을 추진하는 행정을 보여달라”고 꼬집었다.
특히 "매년 시민의 건강을 위해 수백억의 친환경사업을 추진하면서 정작 시민의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1회 미세먼지 발령 안내문자로 15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수년째 일부에만 안내하는 것은 무사보신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또 안 의원은 “대시민 홍보를 통한 미세먼지 나쁨 같은 상황 발생시 마스크착용, 외출자제 등 시민이 주도적으로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안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방이야 말로 최선의 대책임을 인식해 향후 재난문자서비스처럼 모든 시민에게 안내가 갈 수 있도록 미세먼지 주의보 문자발송 안내를 개선하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