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교육청은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딸의 부정 입시 관련 의혹에 대해 수수방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명 서울시의원이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실에 조 후보자 딸이 졸업한 한영외고 감사 계획을 자료로 요구했지만 교육청은 ‘감사 계획 없음’ 이라는 초간단 답변을 제출했다.
![]() |
▲ 한영외고 감사계획 없음을 통지. (자료=여명 교육위원 제공) |
또한 여명 의원이 한영외고 관련해 요청한 2006~2009년 한영외고 정관 및 학칙·학사규정, 최근 2006년부터 10년간 한영외고 기부금 내역 등의 자료 요구에 대해서도 역시 미제출 상태다.
그러나 조희연 교육감은 2016년 정유라 이대 부정입시 의혹 당시 직접 ‘학사농단 사태’라며 정유라 출신 학교들을 한 달에 두 번이나 특별감사팀을 꾸려 감사한 끝에 졸업 취소를 시킨 전례가 있다.
또한 여명 의원실 확인 결과 조 교육감은 2016년 당시 다수의 포스팅을 통해 ‘학사농단’ 관련 즉각조치·후속조치를 약속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여명 의원은 29일 서울시교육감을 대상으로 한 현안 질의에서 “다수 시민이 분노하고 지켜보는 특권층의 입시 부정 의혹에 서울시교육청 역할은 없나”라며, 2016년 당시의 조 교육감 페이스북을 읽어주며 “이렇게 잘 할 수 있는데 왜 그렇게 가만히 계시냐”고 의문을 제기 했다.
“정유라씨 출신학교들에서 벌어진 학사농단과 학교에 대한 유린을 지켜보며, 이나라 학생들에게 사과합니다. 교실에서 배운 정의, 공정함, 민주주의 등과 현실이 일으키는 모순과 괴리와 불일치와 이중성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출처: 조희연 페이스북 (2016. 11. 26.)
이에 대해 조 교육감은 “한영외고는 국회 교육위에서 주 논의 대상이 아니라 감사계획 없었던 것” 이라고 답변했다.
이에 여명 의원은 “그 답변을 교육감의 민주적 가치와 정의·공정·진보적 신념에 투표한 유권자들 앞에서도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며 “지금 진영 논리로 묻는 것이 아닌 이 사태로 인해 순식간에 무능한 부모가 돼버린 학부모, 분노한 시민, 취업 및 입시 공부 하고 있는 청년들을 대변해 묻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여 의원은 “서울시교육청은 언론에 보도된 의혹 하나만으로도 외고에 특정 감사를 벌인 예시가 있다” 며 대원국제중 감사 사례를 제시했다.
당시 서울시교육청은 감사 배경 및 목적을 “사회적 배려자 전형이 특권층을 위한 제도로 변질됐다는 언론보도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 했으며, 교육청은 이에 ‘학교 법인 및 설치 경영학교 전체에 대한 재산, 인사 및 회계 집행에 대해 특정감사’를 실시했다.
여명 의원은 교육청이 ▲해당자 딸이 2008년 5월 15일 목요일 인턴을 할 때 학교가 편의를 봐준 것은 없는지 ▲중학교 편입해 외고에 입학한 전형이 특례인지, 특례라면 어떤 전형인 것인지 그러한 사례가 그 시기에 있었는지 ▲외고의 정관 및 학칙 학사관리에 있어 그 학교가 편의를 봐준 것은 없는지 ▲봐줬다면 그 당시 그 외고의 교장과 재단과 후보자는 스펙 품앗이로 얽힌 사이인지를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 |
▲ 교육청이 '특권층의 입학부정' 의혹 언론 보도만으로도 외고 대상 특정감사 진행했음. (자료=여명 교육위원 제공) |
이에 조희연 교육감은 “나도 마음이 아프다. 그 후보자(조국)가 참여연대 시절 보여줬던 사법개혁에 대한 의지를 나는 알고 있었고, 국민적 의문에 대해 마음 아프게 지켜보고 있다”며 “다만 그 친구가 시험은 본 걸로 알고 당시에는 그러한 전형이 있었다” 고 덧붙였다.
이에 여명 의원은 “그게 바로 법률 불소급의 원칙이니 그 원칙을 앞장서서 어긴 측은 서울시교육청”이라며, “교육청은 자사고 재지정 기준을 2018년에 마련하고 평가는 그 이전 것 까지 하지 않았냐”고 되물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