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근 청약시장에서 2030세대들의 당첨률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올해도 아파트 청약 당첨자 가운데 2030세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추첨제 물량이 쏟아진 데다 규제 완화로 젊은 세대도 청약 당첨 확률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인다.
◆ 서울 청약시장 30대 비중 56% 급등
19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연령별 청약 당첨자 정보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30대 이하의 청약 당첨자 비율은 52.6%로 나타났다. 2020년 52.9%, 2021년 53.9%, 2022년 53.7% 등 매년 전체 당첨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청약 열풍의 중심인 서울에서도 30대 비중 상승폭이 가팔라졌다. 2020년~2022년 30~40% 대에 불과했지만 올해 56.1%로 크게 뛰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대출이 소득 및 상환능력을 따지는 등 타이트한 것을 감안하면 무리해서 매수하는 경향보다는 여력이 되는 수준에서 내집을 빠르게 매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라며 “여기에 분양가까지 계속 오르자 지금을 청약 적기로 판단하는 경우가 늘었고, 전월세 불안 없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중장기적으로 자산적 가치 상승까지 노리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 |
ⓒ부동산인포. |
정부의 규제 완화로 추첨제 비율이 높아진 것도 원인이다. 지난 4월 1일부터(강남3구와 용산구 제외) 전용면적 85㎡ 이하는 60%, 85㎡ 초과는 100% 추첨제로 당첨자를 뽑고 있어서다.
분양권 전매제한도 1년에 실거주 의무가 없어 ‘출구 전략’이 가능한 점도 젊은 세대 청약 열기에 힘을 보탰다. 수도권 민간택지 아파트의 전매제한 기간은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하고, 과밀억제권역은 1년, 성장권역은 6개월이며, 비수도권에서는 광역시 중 도시지역이 6개월이다. 지방 중소도시 민간택지 아파트는 계약 이후 바로 전매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반기 청약시장에서도 30대 이하의 청약 열풍이 거셀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린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4분기 전국에서 5만2,000여 가구가 분양을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