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25일 김성중 행정1부지사 주재로 도내 9개 권역응급의료센터 병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응급의료협의체’ 영상회의를 열고 추석 연휴 기간 중 중증 응급환자 진료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응급의료 진료상황실은 도 1곳, 시군 보건소 50곳 등 총 51개가 운영된다. 31개 시군 보건소에서는 문 여는 의료기관 현황 등을 일일보고하고 경기도는 현장상황을 매일 관리하며 특이사항 발생시 조치를 하게 된다.
소아 응급환자를 위해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인 아주대병원, 분당차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3개는 응급실 내 소아응급 전담인력이 상주해 24시간 가동된다. 또한, 소아 경증환자를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37개소 및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 진료기관 11개소가 운영되며, 휴진 기관에 대해서는 사전 안내를 통해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연휴기간 동안 조산 등 긴박한 고위험 분만에 대응해 산모와 신생아 보호에 공백이 없도록 권역모자의료센터 4개와 지역모자의료센터 8개를 중심으로 24시간 진료체계를 가동한다.
또한, 권역응급의료센터 9개, 지역응급의료센터 33개, 지역응급의료기관 30개 등 도내 응급의료기관 72곳에 1대1 전담관을 지정해 응급실 의료인력 변동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응급실 운영 중단이나 축소 등 문제점을 실시간 파악하고 보고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각종 재난 사고 발생 시 즉각 출동할 수 있도록 보건소 신속대응반(50개), 재난거점병원(9개) 출동 체계를 유지하도록 했다.
도내 추석 연휴동안 문 여는 의료기관은 지난 추석 연휴(3일간 1,557개소) 대비 10% 확대된 1,716개가 운영된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응급의료기관과 소방, 경기도의 긴밀한 네트워크와 협력으로 긴 연휴기간 동안 중증응급환자들이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빈틈없이 대비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휴기간 문 여는 의료기관은 경기도 및 응급의료포털과 경기도 콜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으며, 중증·응급치료 거부 등 피해 환자 대상 피해사례 발생 시 보건복지상담센터(국번없이 129)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세계로컬타임즈 / 이숙영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