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숙박 트렌드…“국내 여행 다양성 증가”

김영식 / 2024-01-29 14:16:38
온다, ‘2023~24 호스피탈리티 데이터&트렌드 리포트’ 발표
성수기 여행 수요 분산…계절별 여행 수요 다양화
ⓒ온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2023년에도 국내 온라인 숙박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 수요 증가나 제주도 소폭 역성장 등 악재도 있었지만 여행·숙박 산업의 전망은 여전히 밝고, 방한 관광객 증가에 대한 기대도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호스피탈리티 테크기업 온다(ONDA)가 발표한 ‘2023~24 호스피탈리티 데이터&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온다를 통한 온라인 숙박 판매액은 전년 대비 24.9%, 2021년 대비 두 배 이상(118.5%) 증가했다.

2023년 숙박 트렌드는 ‘다양화’로 정의된다. 성수기 집중됐던 여행 수요가 분산되며 계절별로 여행을 즐기는 수요가 증가했다. 2022년 가장 예약이 많았던 달은 7월이었지만, 지난 2023년에는 6월이었다. 전통적인 성수기인 7, 8월은 2, 3위, 10월과 11월이 각각 4, 5위를 차지했지만 2·3위권과 4·5위의 격차는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전히 강원·제주·수도권에 가장 많은 여행객이 몰리고 있지만, 전남·충남·부산의 숙박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48%, 30%, 29% 증가하며 크게 성장했다.

숙박 형태별로도 코로나 시기 집중됐던 독립형 숙소들의 인기는 주춤한 반면, 호텔·리조트 등 다수가 묵는 숙박시설의 인기가 높아졌다. 가장 대표적으로 호텔의 객단가는 지난해보다 16% 증가한 15만8,000원을 기록했지만, 풀빌라는 2023년 31만4,000원에서 12.5% 떨어진 27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풀빌라의 객단가는 다소 하락했지만 온다 내부 거래액은 지난해보다 62.7% 증가하면서 여전히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풀빌라 숙소의 공급과 수요 모두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경쟁 심화로 객단가는 다소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숙박업계 종사자 3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실시한 ‘업계 설문조사’에서도 숙박업 전체 동향 점수는 6.9점을 기록, 2022년 6.1점보다 소폭 상승했다. 호텔 및 리조트, 숙박 관련업 종사자들은 7점이 넘는 점수를 준 반면, 펜션 등 중소 숙박업주들은 평균 6점을 줬다.

2024년 전망도 엇갈린다. 호텔 및 리조트 종사자의 51%가 2024년 전망을 긍정적으로 봤지만, 중소 숙박업주의 긍정적 전망은 22%에 불과했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중국 여행자 증가 ▲새로운 여행지 및 여행 형태로의 지속적인 관심을 꼽았다. 부정적 이유로는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걱정이 가장 많았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