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부단체장 영상회의 개최, AI 차단방역 상황 점검
![]() |
| ▲ 지난 19일 도청간부와 시군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AI 방역대책 추진사항을 점검하는 영상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청> |
[세계로컬신문 최옥성 기자] 지난 18일 전북 고창군의 육용오리 사육농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자 경상남도가 즉각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20일 경남도에 따르면 한경호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이 19일 도청간부와 시군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AI 방역대책 추진사항을 점검하는 영상회의를 가졌다.
이날 영상회의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주재로 전북 고창군 AI 의심축 발생에 따른 방역대책 추진사항 및 시도별 주요 방역 조치사항 점검 후 개최됐으며 한 권한대행은 시군 방역사항을 점검하고 당부사항 등을 시달했다.
한 권한대행은 “전북 고창과 전남 순천이 위험한 지역으로 하동·함양 등 도 경계지역인 특히 오리 사육이 많은 거창군에서 특히 예찰활동과 차단방역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한 후 “초밀식 사육 등 현재의 사육환경에서는 언제든지 AI가 발생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사육환경 개선방안을 마련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만큼 현재의 사육환경에서 특히 3가지를 염두에 두고 방역체계를 마련해달라”고 지시했다.
한 대행은 먼저 “동물방역과와 동물위생시험소가 중심이 돼 축협이나 농협, 검역본부, 농업기술원, 시군 축산부서나 농업기술센터와의 협업체계 강화가 필요하며 내일 가축방역심의회를 열어 협업과 방역체계를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농가중심의 자율방역이 선행돼야 한다”며 “전화와 문자, 현장방문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자가 소독과 예찰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또 “광역 방제가 매우 중요하므로 광역방제기를 총력 가동해서 하천 등 취약지 소독을 충분히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경남도는 AI 특별방역을 위해 지난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 24시간 방역대책상황실을 설치했으며 내년 2월 평창올림픽 기간 중 AI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위기경보 최고단계인 심각단계에 준하는 특별방역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