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사교육비 경감 대책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공정 수능’ 지시 이후 정부가 이른바 ‘킬러문항’으로 불리는 초고난도 수능 문제를 전격 공개했다. 다만 ‘킬러문항’의 기준에 대한 정부 설명이 모호해 교육현장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오는 9월 모평부터 ‘킬러문항 배제’ 적용
27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앞서 예고한 대로 ‘킬러문항’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최근 3년간 수능과 지난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22개의 ‘킬러문항’을 추려냈다.
정부는 ‘킬러 문항’에 대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특히 교육부는 ‘킬러 문항’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실수 유발 가능성’, ‘추상적 문장’, ‘전문 용어 사용’, ‘복잡한 해결 과정’ 등을 들었다.
정부는 교육부·현장 교원 등을 중심으로 킬러문항 점검팀을 꾸려 이들 킬러문항을 골라냈다는 설명이다. 교육부가 이날 공개한 국·영·수 킬러문항 사례는 2021학년도 수능 1개, 2022학년도 수능 7개, 2023학년도 수능 7개,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7개 등 총 22개다.
세부적으로 국어의 경우 ‘고교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 또는 전문용어를 사용, 배경지식이 있는 학생에게 유리한 문제’, 수학은 ‘여러 개의 개념을 결합해 과도하게 복잡하고 실수를 유발하는 문제’ 등으로 분류됐다.
영어 영역에선 ‘전문적 내용 또는 관념적·추상적 내용이라 영어를 해석하고도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 ‘공교육에서 다루는 일반적인 수준보다 과도하게 길고 복잡한 문장을 사용해 해석이 어려운 문항’ 등이 킬러 문항으로 제시됐다.
실제 교육부는 수학영역 6월 모의평가 21번 문항의 경우 문제를 통해 측정하려는 목표와 관련 없는 불필요한 계산 과정이 정답을 찾는 데 쓰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교육부는 “주관식으로 출제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명제 개념을 도입해 수험생 실수를 유발했다”고 했다.
객관식이었다면 세 가지 명제 중 옳은 것을 모두 찾는 5지 선다형으로 출제될 수 있는 문제였으나, 실제론 이들 명제의 참·거짓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수치를 부여한 뒤 세 수치를 더할 것을 요구하는 주관식 단답형 문제로 출제됐다.
다만 일각에선 정부가 내놓은 킬러문항에 대한 선정 기준이 모호해 평가가 다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정부 기준이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평가자 ‘자의’에 따른 선정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더해 킬러문항 없는 수능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뚜렷한 대안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시각도 있다.
한편 교육부는 향후 수능에서 이런 ‘킬러문항’이 출제되지 않도록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오는 9월 모의평가 출제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