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성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장기적 투자 프로젝트 ‘반도체 비전 2030’을 24일 발표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메모리 반도체 분야 글로벌 시장 1위 삼성전자가 이번엔 비메모리 분야 ‘시스템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히며 스스로 목표로 내건 ‘2030년 반도체 비전’을 완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메모리’ 반도체 대규모 투자…2030 비전 완성할까
24일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5,000명을 채용하는 등 비메모리 분야 장기 육성을 위한 프로젝트 ‘반도체 비전 2030’의 구체적 계획을 밝혔다.
특히,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 인프라‧기술력을 공유, 팹리스(Fabless‧반도체설계 전문업체), 디자인하우스(Design House‧설계서비스 기업) 등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
삼성전자 측은 “과감하면서도 선제적인 투자와 국내 중소업체와의 상생협력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시스템 반도체산업 발전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2030년까지 국내 연구개발 분야에 73조원, 최첨단 생산 인프라에 60조원을 각각 투자한다.
연구개발 투자로 인한 대규모 전문인력 양성이 기대되는 가운데, 생산시설 확충에 따라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에도 긍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향후 화성캠퍼스 신규 EUV라인을 활용해 생산량을 끌어올리는 한편, 국내 신규 라인에 대한 투자 활동도 지속할 방침이다.
시스템 반도체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 분야 연구개발 및 제조 전문인력도 1만5,000명 규모로 채용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연평균 11조원 수준의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가 집행되면서 생산량이 증가, 약 42만명에 달하는 간접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또 팹리스 업체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업계의 상생협력을 주도해 시스템 반도체 산업생태계 강화에 앞장선다.
‘선제적 투자 및 중소업체와의 상생협력’ 강조
팹리스 중소업체들의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개발기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IP, 아날로그IP, 시큐리티(Security) IP 등 삼성전자가 기술적으로 확보 중인 IP(Intellectual Property‧설계자산)를 호혜적 지원할 방침이다. 또 삼성전자가 개발한 설계‧불량 분석 툴(Tool)과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지원도 이뤄진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위탁생산 물량 기준을 완화해 국내 팹리스 중소업체들의 소량제품 생산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메모리 반도체는 소품종 대량생산 체제인 반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선 주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이뤄지는 만큼 그간 이들 업체는 높은 수준의 파운드리 서비스를 활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외에 삼성전자는 국내 팹리스 중소업체들의 개발활동에 필수적인 MPW(Multi-Project Wafer) 프로그램을 공정당 연 2~3회로 확대 운영하는 한편, 국내 디자인하우스 업체와의 외주협력도 점차 넓혀갈 예정이다.
업계에선 이번 삼성전자 발표에 대해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국가 3대 미래 육성사업에 포함시킨 데 따른 이재용 부회장의 화답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1월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을 만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방문을 요청했고, 이르면 이달 말 추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