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00만명에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 발송한다

김수진 / 2018-04-16 14:39:12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게재된 피싱사기 방지 홍보 문구.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금융감독원(원장 김기식), 경찰청(청장 이철성)이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이동통신 3사(SKT, KT, LGU+) 및 알뜰통신사업자 36개사와의 협력을 통해 16일부터 총 5363만명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를 발송한다.

메시지 내용은 '검찰, 경찰, 금감원을 사칭해 현금이나 계좌이체를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이다.


검찰‧경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이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의 건 당 피해금액은 807만원으로 전년 대비 21%나 증가했다.

가장 흔한 예로는 검찰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기망하거나 경찰을 사칭하며 송금을 유도 또는 금감원을 사칭해 가짜 공문을 이용한 피싱 방법이 가장 많았다. 

검찰을 사칭해 피해자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됐다며 접근해 1억 원을 편취한 사례도 있는 등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수상한 낯선 전화는 일단 끊은 뒤 반드시 해당 기관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만약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돈을 송금한 경우 신속히 경찰서나 해당 금융회사에 지급정지를 신청하면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수진

김수진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