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0년 9월 북한군에 피살된 해수부 공무원의 부인이 17일 서울 서초구 변호사회관에서 사건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하던 도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 2020년 북한군이 해양수산부 어업지도 공무원을 피격한 사건을 두고 논란이 재확산 중인 가운데 감사원은 이 사건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다. 앞서 해경은 지난 16일 해당 공무원이 ‘자진’ 월북했다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
◆ 해경·국방부에 자료제출 요청
감사원은 17일 이번 피격사건과 관련해 최초 보고과정과 절차, 업무처리의 적법성과 적정성 등에 대해 정밀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은 감사착수 배경에 대해 “(어제) 인천해양경찰서 등이 2년 만에 뒤바뀐 수사 결과를 내놨다”며 “특별조사국 소속 감사인력을 투입해 해양경찰청 및 국방부 등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즉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수집 내용을 정리해 감사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해경·국방부 등에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인천해양경찰서는 전날 지난 2020년 9월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당시 자진해 월북했다고 단정할 만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 역시 당시 진행한 브리핑에서 피살된 공무원이 월북을 시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은 해수부 소속 공무원인 A씨가 지난 2020년 9월 21일 서해 최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어업지도선을 타다가 실종된 후 북한군으로부터 피살된 사건이다. 이후 북한군은 A씨 사살 뒤 시신마저 불태운 것으로 알려져 국민 공분을 샀다.
이에 해경은 사건 발생 9일 만에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당국이 파악한 북한의 통신신호 감청 및 해상 표류 예측 결과 등을 근거로 A씨가 월북하다가 북한군 총격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후 A씨의 금융 계좌 추적·조사와 도박 기간이나 채무 금액 등을 토대로 ‘자진’ 월북에 무게를 실었다.
그러나 전날 발표로 2년여 만에 결론이 완전히 뒤집어진 셈이 됐다.
해경은 전날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종합적인 수사를 진행한 결과, 월북 의도를 인정할 만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며 기존 입장을 번복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