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 ‘정규직화’ 갈등 심화…대학병원 3곳 줄줄이 파업

김영식 / 2019-07-10 14:48:57
전남대병원-전북대병원-충남대병원 등 일제히 농성 돌입
▲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최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립을 중심으로 병원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화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부산대병원에 이어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충남대병원 등 3곳 병원에서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파업이 이어지고 있다.  


10일 보건의료노조 산하 각 병원지부에 따르면 전남대병원 등 3곳에서 이날부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농성에 돌입했다.


먼저 전남대병원지부는 이날 오전 11시 30분부터 병원 본관 로비에서 농성을 시작했다.


노조는 총 523명의 비정규직 직원에 대한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한편, 오는 16일 ‘직장괴롭힘 방지법’ 시행을 앞두고 원내 폭언‧폭행 및 채용비리 근절을 내걸고 파업에 들어갔다. 이날부터 매일 출근시간 피켓 시위도 진행한다.


전북대병원지부도 이날 오전 비정규직 291명에 대한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병원 로비 앞 농성과 매일 점심시간 피켓시위를 병행해나갈 예정이다.


충남대병원지부 역시 이날 농성 돌입으로 216명의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직접고용을 요구했다.


해당지부 관계자는 “로비 리모델링 공사 탓에 병원 로비가 아닌 병원장실 앞에서 농성을 진행할 방침”이라며 “간접고용 노동자들은 병원 밖에서 출근선전전, 퇴근선전전, 1인 시위 등의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부산대병원지부는 지난 3일 3차 파업을 진행한 데 이어 정규직‧비정규직 대표 2명의 무기한 단식농성 또한 이날로 14일째를 맞고 있다. 지난 5월 21일과 지난달 26일, 이달 3일 등 3차례 파업에 이어 이달 18일 4차 총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정부가 지난 2017년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1단계 공공기관으로 분류된 국립대병원의 경우 ‘용역·파견회사’와 계약만료 전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며, 불가피 계약을 연장할 경우에도 만료 시점 전환을 완료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가 의욕을 보인 정책 추진에도 지난 2년 간 국립대병원의 정규직 전환률은 사실상 ‘0(제로)’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부산대병원의 경우 3차례 계약 연장에 이어 최근 ‘자회사 전환 검토’ 이야기도 들린다.

 
이 같은 국립병원들의 늑장 대응에 노조 불만은 점차 커져갔고, 결국 이번 파업 확대로 이어진 모습이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부산대병원에 이어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충남대병원 등 4개 병원으로 농성이 확대됨에 따라 오는 17일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관련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