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 1일 윤석열 대통령이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한 발언을 두고 시민사회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계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했다”는 윤 대통령의 연설에 “굴욕적”이라는 시민사회 혹평이 나온다.
◆ “전형적 일제 식민사관 인식”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2일 ‘3·1 운동의 기본 정신을 망각한 대통령의 굴욕적인 3·1절 기념사’란 제목의 논평을 내고 “윤 대통령은 전날 기념사에서 3·1운동의 기본 정신을 망각한 채 일본의 식민 침략에 면죄부를 주는 발언을 함으로써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역사관을 의심케 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은 1일 기념사에서 “세계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면서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윤 대통령은 우리가 잘못해서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다고 얘기할 뿐 3·1운동 정신의 연장선 상에서 일본의 잘못된 과거사 인식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면서 함께 미래로 나아가자는 언급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일본 침략이 우리의 무능과 부패로 패망했다는 전형적인 일제 식민사관 중심의 인식”이라며 “일제의 무단 통치에 항거해 조선 독립을 외친 뜻깊은 날을 기리는 3·1절 행사 기념사로선 매우 부적절하다”고 짚었다.
이어 “일본은 아베 정권 이후 식민지배의 책임을 전면부정하고 있고, 현 정권은 위안부와 강제동원을 전면 부정한 아베 노선을 계승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윤 대통령은 일본이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고 말했다. 과거사 문제가 해소된 것처럼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한 발언”이라고 했다.
또한 경실련은 “과거사에 대한 반성 없이 일본이 침략 행위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고 어떻게 단언할 수 있나”라며 “미래를 지키고 준비하기 위해 역사는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한다면서 과거사 문제는 뛰어넘고 미래 이야기만 하자는 것은 일본의 논리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