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석규 의원 자료에 따르면 경기문화재단 사업비는 14억원 감액됐으나 남한산성 출연금으로 30억원이 배정돼 실질적으로 44억원이 감액됐으며, 2024년 160억원의 순수사업비에서 73억원 감액된 87억원으로 전년 대비 5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오석규 의원은 “도민 문화예술 향유 등 정상적인 사업 추진에 불가피한 차질이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도민의 문화향유권 보장을 위해 경기문화재단의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오 의원은 경기 라이프 플랫폼 운영 지원 사업에 대한 질의를 이어갔다. 2023 국민문화예술 활동조사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공연 등 참여비율이 높다고 밝히며, “고소득자이면서 이용 횟수가 많은 분들에게 페이백을 해줄 경우 서민 또는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으로 보기 어렵고 도민의 세금으로 공공을 위한 공적 영역의 사업으로 보기 부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국민여가실태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의 35.2%가 문화·예술·공연에 참여하지 못한다며 “문화향유가 어려워 진입도 못하고 있는 35.2% 도민을 향한 정책사업으로 예산을 편성하는게 우리 공공의 역할이다”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오 의원은 실태조사에 따르면 영화 관람이 59.1%를 차지하는 만큼 라이프 플랫폼 운영 지원 사업이 대기업 멀티플렉스의 매출 증가로 이어져 정책의 효능감이 떨어질 수 있다며, “소상공인과 예술인이 혜택을 볼 수 있는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