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위택스와 스마트 위택스(모바일 앱)를 이용하면,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를 언제 어디서나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다. PC 또는 스마트폰에 접속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재산세 부과내역을 확인하고 세금을 납부하면 된다.
본인 통장이나 카드를 소지하고 가까운 은행 CD/ATM 기기를 통해서도 재산세를 납부 할 수 있다. CD/ATM 기기에 본인의 카드나 통장을 투입하고, ‘국세·지방세 공과금의 지방세’를 선택해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재산세 납부를 할 수 있다.
종이고지서에 적혀있는 ARS 전화번호 또는 가상계좌를 이용해도 된다. 고지서에 안내된 ARS 번호로 전화하면 부과내역 확인 후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세급을 납부하게 된다. 은행을 방문하거나 은행 사이트에 접속해 가상계좌에 세금을 이체하는 방법도 있다. (지자체별 ARS 전화번호와 가상계좌는 모두 다르므로 고지서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위택스나 지자체 방문 등을 통해 지방세 고지서 전자송달 또는 전자고지를 신청하면 고지서 한 건당 150원에서 500원까지 세액이 공제(지자체별 감면조례로 정함)돼 세금을 절약할 수 있다.
종이고지서 없는 전자송달은 위택스(PC, 모바일), 간편결제(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코), 은행 앱(농협, 국민 등 12개 은행)을 통해 서비스 하고 있다. 먼저 위택스와 스마트 위택스에서 전자송달을 신청하면 ‘전자사서함’과 ‘이메일’로 세금 고지서를 받아 볼 수 있다.
또한, 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코 앱에서 지방세 송달을 신청하면 카카오톡 또는 네이버와 페이코의 푸시 알림으로 모바일 고지서 도착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각 간편결제사에 등록된 신용카드로 간편하게 세금을 즉시 납부할 수 있다. 더불어, 12개 은행 앱(농협, 국민, 신한 등)에서 지방세 전자송달을 신청하면 푸시 알림으로 모바일 고지서 도착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해당 은행계좌에서 즉시 납부할 수 있다.
이밖에도, 지방세 자동이체(본인의 계좌 또는 신용카드)를 신청하면 매월 23일 또는 말일에 재산세 등 정기분 지방세가 자동 납부돼 납기일을 놓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건당 150원에서 500원까지 세금이 공제된다.
지방세 자동이체는 위택스 또는 지자체 세무부서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후 익월 고지분부터 자동이체가 적용되므로 이체일 이전에 잔고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