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보조시스템 설치, 운전자 쉼터 논의도
![]() |
| ▲ 경기도북부청사 전경. |
[세계로컬신문 고성철 기자] 경기도와 31개 시군이 머리를 맞대 도내 안전운행을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하는데 힘쓰기로 했다.
경기도는 지난 26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장영근 도 교통국장 주재로 ‘경기도 광역버스 안전운행 종합대책 관계자 회의’를 열고, 이 같이 합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7월 9일 18명의 사상자를 낸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광역급행버스(M버스) 추돌사고와 관련 경기도 광역버스 안전운행 종합대책의 원활한 추진과 관계기관 간 협조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열린 이날 회의에는 도내 31개 시군 버스담당과장과 광역버스 운송업체, 경기도 버스운송사업조합 등 관계자 70여 명이 참석해 회의 및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먼저 ‘단기적 대책’으로 첨단 운전자지원시스템 설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은 전방 추돌 위험이나 차선이탈시 경보와 진동을 울리는 장치로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경기도는 올해 11억5300만원을 지원해 광역버스 2400여 대에 이 시스템을 장착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에서는 지난 7월 12일에 국토교통부 면허인 M-버스(344대)에 대해서도 첨단 운전자지원시스템의 조속한 설치를 건의했다.
또 운전자 휴게시간 확보 차원에서 서울 5개 주요 거점지(강남역, 서울역, 잠실역, 사당역, 강변역)를 운행하는 125개 광역버스 노선을 대상으로 ‘광역버스 운전자 쉼터’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경기도는 동시에 기존 버스운송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고 더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장기적 과제’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힘쓴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올 12월부터 김포, 파주, 안산, 안양, 시흥, 포천, 양주 등 광역버스 인면허권을 가진 7개시와 부천, 의정부, 군포, 의왕, 과천 등 광역버스 노선이 경유하는 5개 시군 등 총 12개 시군에서는 직행좌석형 시내버스(광역버스) 33개 노선을 준공영제로 운행할 계획이다.
장영근 경기도 교통국장은 “안전에 대해서는 공짜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예산과 비용, 시간, 노력이 들어가야 안전이 지켜진다”면서 “근본적인 대책으로서의 준공영제 추진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지금까지 했던 것보다 훨씬 더 긴박한 자세로 시군 버스담당부서 및 운송업체에서 함께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