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공공부분 정규직 전환에 속도낸다

오영균 / 2017-11-01 15:39:55
1일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지연 관련

[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대전시가 연말까지 계약이 만료되는 공공부분 비정규직근로자에 대해 내년부터 정규직 전환에 나선다.

▲대전시청 전경 

신상열 대전시 자치행정국장은 1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을 통해 노사전문가 협의기구를 구성할 계획조차 없다는 공공연대노동조합 대전지부(이하‘공공연대’)의 주장에 대해 이같이 밝히며 "앞으로 노사전문가협의기구를 구성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 자치행정국장은 "정부정책에 맞추어 지난 8월 비정규직근로자에 대한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해 정규직전환 추진계획을 수립했다"면서 "9월에는 정규직 전환 첫 단추인 공기업을 포함한 시 전체 전환대상자로 한 전환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고령자 친화직종을 설정하고 정년 및 고용연장 기준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용역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늦다는 공공연대의 주장과 용역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대해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근로자 전환 가이드라인은 조세부담, 공공부문 경직성, 형평성 등 국민적 우려도 함께 제기되는 등 과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의견과 기관별 특성 및 사정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보다는 기관별 특성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명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가 정부의 가이드라인 내에서 신중한 검토와 추진을 병행하고 있는 부분이 정규직전환 추진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여질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앞으로 노사전문가협의기구를 구성하고, 올해 말로 종료되는 용역계약에 대해서는 2~3개월간 정도 계약 연장을 검토하는 등 정규직 전환 요구를 정부의 가이드라인 내에서 겸허히 수용해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지난 10월부터 시본청과 직속기관, 사업소 등을 대상으로 전환심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차질 없이 정규직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이날 역점 정책으로 일·가정 양립 가능한 ‘일하기 좋은 직장 만들기’추진 성과 추진사항도 설명했다.

신상열 국장은 시 공무원 유연근무제 이용인원은 9월말까지 1488명으로 현원 3464명의 42.9%가 참여하고 있으며 전년 동기(1,334명)대비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시가 지난해부터 ‘행복한 직원이 시민을 행복하게 한다’는 기조아래 추진 중인 ‘일하기 좋은 직장 만들기’와 관련 유연근무제 이용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시는‘ 일하기 좋은 직장 만들기’와 관련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직원 사기진작을 위해 4대 핵심 7대 지속과제를 추진 중에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영균

오영균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