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확정됐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조선‧해운업계 최대 화두였던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확정됐다.
현대중공업그룹과 산업은행은 관련 본 계약을 체결,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민영화 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된 것이다.
현대중공업그룹과 산업은행은 8일 현대중공업지주 권오갑 부회장과 현대중공업 가삼현 사장,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이 각각 참석한 가운데,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관한 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 1월 31일 현대중공업과 산업은행이 맺은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관한 기본합의서에 따른 것이다.
해당 합의서는 현대중공업이 물적분할을 통해 ‘한국조선해양(가칭)’을 설립하고, 산업은행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해양 지분 전량을 출자한 뒤, 대신 한국조선해양의 주식을 취득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외에도 이날 체결된 본 계약서에는 ▲현대중공업 및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실사 실시 ▲‘중대하고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되지 않는 한 거래 완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 경주 ▲기업결합 승인 이전까지는 현대 및 대우 양사의 독자 영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위법한 행위 금지 등의 내용이 담겼다.
양사는 이날 계약식에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의 고용안정 및 협력업체 기존 거래선 유지 등 상생발전방안을 담은 공동발표문도 발표했다.
이들은 공동발표문에서 “대우조선해양 인수는 궁극적으로 고용을 안정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있다”고 밝혔다.
특히 건강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대우조선해양의 자율경영체제 유지 ▲대우조선해양 근로자의 고용안정 약속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및 부품업체의 기존 거래선 유지 등의 입장을 천명했다.
이와 함께 양사는 학계‧산업계‧정부가 공동 참여하는 ‘한국조선산업 발전협의체(가칭)’ 구성을 추진해 기자재업체, 협력업체로 이뤄진 각 지역의 조선 산업 생태계를 복원시키겠다는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