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확산 우려…우한發 입국자 3천명 전수조사

김영식 / 2020-01-28 15:57:22
최근 2주일 이내 입국자 대상…바이러스 대응책 일환

 

▲ 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공포가 한반도를 강타한 가운데, 정부는 최근 입국자 3천 명 규모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대응책의 일환으로, 최근 14일 이내 중국 우한으로부터의 입국자 3,023명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8일 “이번 조사대상은 내국인 1,166명, 외국인 1,857명 등 총 3,023명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일괄 조사 및 모니터링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신종 코로나 확산 막기 위해 총력”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먼저 해당 기간 우한에 다녀온 내국인이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확인되는 경우 국가지정 입원 치료병상으로 이송해 격리·검사할 예정이다.


외국인은 출국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국내 체류자의 경우 경찰청 등과 협조해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감염병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해 지역사회의 대응체계도 한층 강화한다.


정부에 따르면 이 질병이 중국 이외 국가로 유입된 사례 중 검역단계에서 인지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는 50건 중 7건 수준이다.


이에 ‘무(無) 증상기’에 입국한 뒤 지역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를 조기에 확인 조치하기 위해 지자체별 선별진료소를 현재 288개에서 추가 확대키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질병관리본부 상담센터(1339) 인력을 추가 확보하는 한편, ‘자주 묻는 질문’은 지자체별 주민콜센터에 배포해 대기시간 단축 등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확진 또는 의심환자 입원에 필요한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은 현재 29개 병원, 총 161개 병실을 운영 중이다.


정부는 의심환자 신고 증가에 대비해 지역별 거점병원 및 감염병 관리기관 등의 병상도 동원가능토록 준비하고, 필요 시 감염병 관리기관을 추가 지정하는 등 단계별로 대응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민간 의료기관에서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가 가능하도록 검사 기술과 자료를 제공해 이르면 다음달 초부터 현장 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 네 번째 확진자 172명 접촉


한편, 이날 정부는 네 번째 확진 환자의 역학조사 내용도 공개했다. 지금까지 파악된 환자의 접촉자는 총 172명이다. 가족 중 1명은 ‘유(有) 증상자’로 확인돼 격리조치 후 검사를 시행했지만 최종 음성으로 확인됐다.


질본에 따르면 환자는 증상 발현 후 주로 자택에 머물러 의료기관 방문 외에는 별다른 외부 활동을 하지 않았다. 이 환자의 입국 시 탑승한 항공기와 공항버스, 방문 의료기관에 대해선 모두 환경소독이 완료된 상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