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다음달 공간정보 445건 대국민 공개

박정선 / 2018-08-29 16:32:58
"민간도 '공간정보' 활용 쉬워진다"

▲ <이미지 출처=국토교통부>

[세계로컬신문 박정선 기자] 앞으로 민간에서도 토지·도로·교통·환경·지도 등과 같은 공간정보 활용이 쉬워진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공공은 물론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445건에 달하는 공간정보를 다음달 국가공간정보포털을 통해 개방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사용자가 좀 더 접근하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공간정보의 종류와 개방 물량에 대한 표준분류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적용해 어떤 정보들이 제공되는지를 체계적으로 보여줄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공간정보 품질관리 연구를 통해 새롭게 마련된 표준분류체계는 행정안전부 정부기능분류체계와 공간정보 국제표준에 더해 공간정보 특성을 반영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정보 현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돼 필요한 공간정보를 한결 수월하게 찾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간 국토부는 ‘국가공간정보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등에서 관리·생산하는 공간정보 현황을 매년 상반기부터 조사하여 이를 국가공간정보포털을 통해 공개해 왔다.


올해는 156개 기관에서 보유한 공간정보가 4만752건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전년도 3만6301건 대비 10.9%(4,451건)가 증가한 수치다. 기관별로는 중앙부처 6336건·지자체 3만3709건·공공기관 707건으로 중앙부처와 지자체 보유 비율이 전체의 9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에서 보유한 공간정보 가운데 2021건의 공간정보가 국가공간정보센터로 수집되었고 그중 개인정보, 민감정보 및 국가보안정보 등 비공개 정보를 제외한 총 445건의 공간정보가 일반 국민들에게 개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공간정보센터는 관리기관이 보유한 공간정보를 시스템을 통해 연계·수집하고 기관끼리 공동으로 활용하는 정보나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정비하여 개방할 수 있는 공간정보를 선별한다.


국가공간정보센터 측은 "공간정보는 자율주행차, 드론, 사물인터넷 서비스 등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이지만 구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여러 기관에서 각자의 목적에 의해 생산·관리되는 만큼 공유 및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며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국가공간정보 보유현황이 정비됨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한 창업 및 서비스 육성이 보다 활성화되고 향후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공간정보의 양적·질적 수준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선

박정선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