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과 함께 사업 청취 및 의견 소통” 하지만 소상공인협회는 패싱
![]() |
▲ⓒ김제시 |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전북 김제시가 14일 ‘김제시 구도심 상권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는데 첫 발부터 어색한 스텝을 밟고 있다.
김제시에 따르면 내년 중소벤처기업부의 상권활성화 공모 사업을 목표로 ‘김제시 구도심 상권활성화’ 사업을 시작했다.
이 날 보고회에는 관련부서 담당자와 소상공인이 참석해 용역업체로부터 앞으로의 주요과업에 대한 추진전략 및 과업수행 절차·방법에 대한 사업 설명을 들었다.
김제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날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사업의 방향성을 잡아가고자 소상공인의 애로사항 및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부서 담당자의 의견을 취합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참석 소상공인을 확인해 보니 두 곳의 상인회 총 4명과 A상권 모임 2명이 전부였다. “장소가 협소해서”라는게 이유였다.
이 친목단체 회원 6명이 용역 비용만 4900만 원에 이르는 해당 사업 상권 전체 소상공인을 대표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남는다.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듯이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전해들었다”는게 김제시의 주장인데 친목단체 구성원이 아닌 소상공인에게는 당초 보고회 참석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가 없었던 것.
거기다 ‘김제시 소상공인협회’측과의 정보 공유조차도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김제시 관계자는 “자율상권조합을 구성해야 한다”며 “(상권 건물주·상인)상생협약을 진행해야 하는데 거기(소상공인협회)하고는 상권이 별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상인회원이 아닌 해당 거리 소상공인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민선8기 핵심공약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본 연구 용역을 통해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 구도심 활성화를 도모하고 소상공인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공모사업의 규모는 매우 크다. ‘2023년 상권활성화사업’에 선정된 정읍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최대 80억 원이 샘고을시장 및 그 주변상권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대규모 사업이 상권 내 그들만의 현안으로 봐야 하는것일까?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용역에는 더 많은 상인들의 목소리를 듣고 더 꼼꼼히 챙기는 모습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