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된 인센티브 에너지 절약 등 재투자 온실가스 감축 선순환 효과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서울시는 기업과 공공주택, 소상공인 등 에코마일리지 단체회원을 대상으로 ‘에너지절약 경진대회’를 개최한 결과, 8만 2,000개 소의 단체회원이 2020년 한 해 동안 이산화탄소(CO2) 51만 6,580톤을 감축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시는 에너지 사용 피크기간인 겨울철(12월~3월), 여름철(6월~9월) 각 4개월 단위의 에너지 절감률, 절감량 및 에너지절감 우수 실천사례 등을 평가해 우수 단체에 최대 1,000만 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이번 대회는 6~9월간 에너지 사용량이 직전 2년 같은 달 대비 10% 이상 감소한 단체회원(소상공인, 복지기관, 종교단체 등)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절감률(40점), 온실가스 감축량(40점), 우수 실천사례(20점)를 종합 평가했다.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량은 여의도 165배 면적에 숲을 조성하거나, 30년산 소나무 7,827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로, 서울시는 상업·공공건물 등 단체회원이 온실가스 감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30년산 소나무 1그루는 연간 6.6k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온실가스 감축률’은 직전 2년 평균값 대비 현년 온실가스 배출규모가 얼마나 감축됐는지 비율(%)을 말한다. 10% 이상~11% 미만 감축 시 최저 20점을 부여하고 이후 1% 단위로 1점씩 가점되며, 30% 이상 감축 시 최대 점수인 40점 만점을 부여한다.
‘온실가스 감축량’은 직전 2년 평균값 대비 현년 온실가스의 절대적인 감축량(kgCO2)을 평가한다. 건물 크기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상이하기에 에너지 사용규모(TOE)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부문별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살펴보면 기업 25만 8,225톤, 아파트단지 1만 6,999톤, 학교 10만 6,660톤, 공공기관 8만 8,866톤, 종교시설 6,904톤, 소상공인 3만 8,925톤의 이산화탄소(CO2)를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에너지다소비사업장 및 기업이 전체 온실가스 감축량의 50%를 차지한 것으로, 에너지 절감에 앞장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특히 학교에서 온실가스 감축량이 크게 확대되고 아파트단지 등의 온실가스 감축량이 저조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학교 등교 축소, 재택근무 확대 등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상은 에코마일리지 단체회원 유형별·규모별로 나눠 평가한 후 에너지 사용 규모별로 최우수상 1곳, 우수상 2곳, 장려상 15~45곳 내외로 선정했다.
이들 에너지 절약 우수 에코마일리지 단체회원은 고효율 설비교체, 운영방식 개선 관리시스템 적용, 인공지능(AI) 설비 도입 등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들 단체에 최대 최우수 1,000만 원, 우수 700만 원 등 최소 50만 원에서 최대 1,000만 원을 지급했다.
우수 단체에 제공한 인센티브는 해당 사업장의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감축사업(80% 이상), 공로자 포상(20% 이내) 등에 재투자하도록 해 선순환 효과를 내도록 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