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수는 `학생맞춤통합지원의 이해와 실천'이라는 주제로 타 시도의 선도학교 우수사례를 공유하여 학생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정책 이해도를 높이고, 현장 적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특히,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협업 방안을 공유했다.
‘학생맞춤통합지원’은 학생의 문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기초학력 지원, 아동학대 예방, 다문화 학생 지원 등 개별적 지원사업을 학생 중심으로 재구조화해 학생을 지원하고 성장시키는 사업을 말하며 '26년 3월부터 모든 학교에서는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를 운영하여야 한다.
위원회는 교장, 교감을 중심으로 부장교사, 진로·복지·상담·보건 영역 담당자들이 모여서 복합적 위기 학생의 지원방안을 협의·결정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학생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수에 참여한 한 교사는“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배울 수 있어서 유익했다”며 “그동안 위기 학생이 발견되면 담임선생님 혼자 고민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에서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해결책을 찾게 되어서 부담을 덜게 됐다”고 말했다.
대전시교육청 최현주 기획국장은“이번 연수를 통해 학생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도하는 교사의 통합지원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내년 3월 학생맞춤통합지원법 시행에 대비하여 제도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