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열린 문화체육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정무창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2)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6개 핵심 문화사업이 모두 난항을 겪고 있다”며 “사업추진이 늦어질수록 광주시의 도시 경쟁력과 시민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된 사업은 ▲아시아 예술 융복합 창작센터(140억원), ▲아시아 아트플라자(190억원)▲개방형 광역수장보존센터(600억원), ▲상무소각장 문화재생사업(436억원→721억원으로 증액) ▲비엔날레 전시관(1,181억원→1,282억원으로 증액) ▲전문예술극장(3,000억원) 등으로, 총 사업비만 당초 5,547억 원에서 6,247억 원으로 약 12.6%(700억 원) 증가했다.
특히 상무소각장 문화재생사업은 436억 원에서 721억 원으로, 비엔날레 전시관은 1,181억 원에서 1,282억 원으로 각각 증액이 검토되고 있다.
정 의원은 “재정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이렇게 대규모 사업들이 현실적으로 추진 가능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각 사업별 추진 부진의 이유도 다양하다.
광역수장보존센터는 부지 공모 2차례 실패, 아시아 아트플라자는 부지 매입비 과다 및 경제성 부족, 융복합 창작센터는 지방재정
투자심사 2회 반려, 상무소각장 재생사업은 중앙투자심사에서 낮은 경제성(B/C 0.08)으로 반려됐다.
전문예술극장은 부지조차 정해지지 않은 채 예비타당성조사만 예정돼 있고, 비엔날레 전시관은 공사비 급등으로 연면적 축소가 검토되는 실정이다.
정무창 의원은 “공통된 문제는 부지 적정성, 경제성, 수요 분석 등 수백억 원의 재정 투입이 예상되는 사업들이 줄줄이 답보 상태라며 시 재정 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 없는 대형 문화사업이 시민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철저한 재검토와 단계별 추진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