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토교통부는 올해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시속 400㎞ 초고속철도를 신설 및 드론택시 시험비행 등 교통시스템 혁신을 시도한다. (사진=SBS 화면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국토교통부는 광역 철도·도로망을 확충하고, 오는 11월 드론택시 시험비행에 나서는 등 교통시스템 혁신을 시도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철도중심 교통체계로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고, 교통시스템 혁신을 통한 편리한 출·퇴근길을 만들기 위한 방안 등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국토부는 우선 고속열차 속도를 높이는 작업에 나서 시속 400㎞의 초고속철도를 신설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오는 10월까지 고속철도 2복선화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연말부터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우선적으로 예비타당성 면제사업으로 추진하는 오송~평택 구간에 초고속열차 선로 시설을 도입하고 나머지 구간은 기본계획에 반영해 단계적으로 시도할 계획이다.
또한, 중앙선 원주~제천 구간에는 시속 250㎞ 고속열차인 EMU-250을 올해 말까지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간선 철도망 속도를 제고할 방침이다.
그리고 GTX 사업에서 현재 추진 속도가 가장 빠른 노선인 GTX-A 노선은 오는 2023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에 속도를 붙일 계획이다.
![]() |
▲국토부는 편리한 출·퇴근길을 만들기 위한 방안 등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자료=국토부 제공) |
GTX-C노선은 오는 11월 민자시설사업기본계획(RFP) 고시를 거쳐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며, 지난달 기본계획에 들어간 GTX- B노선도 내년 상반기 중 사업자 선정에 나설 계획이다.
신규 노선으로 수도권 서부권 GTX-D 노선 검토도 본격화한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제4차 광역국가철도망계획안 반영을 목표로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4차 광역국가철도망계획안 수립이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질 예정이기에 구체적으로 서부권 GTX 도입을 논의할 것"이라며 "서부권 급행철도 검토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드론·자율주행·플랫폼을 통한 모빌리티 혁신을 통해 국민 교통 편의를 개선한다.
오는 11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드론택시 시험비행에 돌입한다. 자유로운 드론 비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비행자유화구역을 지정하는 등 도심형 항공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 성장기반 마련에 속도를 낸다.
자율주행차와 관련, '레벨3' 안전기준을 오는 7월 시행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운전자없이 운행 가능한 자율차의 출시 기반을 조성하고, 세종시에서는 오는 10월 자율주행차 대형버스를 시범 운행할 계획이다.
기존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편의를 개선하는 작업에도 주력할 방침으로, 현재 35개인 M버스 노선을 올해 44개로 확충하고, 예약제도 확대 8개에서 2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수요맞춤형 M버스도 오는 9월 도입할 계획이다.
교차로에서 멈춤 없이 통과하는 S-BRT, 간선도로 내 고속버스 전용차로, 연계환승시설을 갖춘 BTX 등 신개념 버스 서비스를 통해 대중교통 속도도 획기적으로 제고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