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 대전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장애어린이 재활병원을 비롯해 대전의료원 설립의 추가 논리 개발을 위한 대전세종연구원의 정책연구과제 보고회를 열었다.
![]() |
| ▲권선택 시장(왼쪽 첫번째)은 어린이 재활병원 및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한 대전세종연구원의 정책연구과제 보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대전시청> |
이날 보고회에서 대전세종연구원은 대전에 건립하는 어린이재활병원은 중부권(세종, 충남, 충북, 전북지역)을 아우르는 거점역할 중요성 강조하며 서울 넥슨 어린이재활병원 규모(121병상)는 되어야 하고, 운영주체는 국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정경석 박사는 대전의료원의 위상과 기능을 국정과제와 연계해 정립했고 대덕특구에서 개발한 첨단의료기기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역할과 스마트병원시스템 도입 등을 설명했다.
권선택 시장은 "어린이재활병원은 국립으로 건립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중부권을 대표하는 모델이 되려면 150병상 정도는 돼야 한다. 국립으로 건립하더라도 대전시가 할 일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오는 18일 이번 연구결과 및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해 전문가 수렴된 의견을 중심으로 어린이재활병원 및 대전의료원 건립 방향을 보건복지부에 건의해 공공의료시설이 조속히 확충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