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중재위원회, 가짜뉴스 해법 모색 토론회 개최

김정태 / 2017-12-08 17:04:17
"표현 자유 규제보단 자율 규제 바람직해"
▲ 지난 7일 언론중재위원회가 개최한 '가짜뉴스 해법, 어디서 찾을 것인가' 토론회가 열리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한국인터넷신문방송기자협회>

[세계로컬신문 김정태 기자] 언론중재위원회(위원장 양인석)가 지난 7일 오후 프레스센터 18층 서울외신기자클럽에서 가짜뉴스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가짜뉴스 사례와 세계 각국의 대처방안, 국내에서 발의된 각종 입법안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 미디어 환경에 맞는 가짜뉴스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서는 ‘가짜뉴스 해법, 어디서 찾을 것인가’라는 주제로 지난해 미국 대선 과정에서 가짜뉴스 논란이 불거진 후 지난 1년여간 누적된 각국의 다양한 대처방안과 국내 입법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먼저 최근 가짜뉴스 관련 연구로 학계의 주목을 받은 정세훈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가 제1주제 ‘가짜뉴스의 정의 및 국내외 대응현황’을 발표했다.

제2주제 ‘가짜뉴스 관련 국내 입법안 분석과 한계’를 발표한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중재위원)가 “언론과 사회 및 학술기관의 팩트체킹 노력과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 다른 관점을 경험하는 소통의 구조가 법령적인 도구보다 더 우선적인 해결책일 수 있다”며 자율 노력을 강조했다.

2부 토론회는 진형혜 변호사(중재위원)가 토론회 사회를 맡았으며 윤성옥 경기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 이광엽 YTN 경제부장, 최진응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했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는 시민의 입장에서 바라본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보 과부화 시대에 정보의 분별력을 높이는 것이 민주시민의 시민성을 함양하는 것이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목적이고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책토론에 참석한 한국인터넷신문방송기자협회 전병길 회장은 “가짜뉴스는 사회발전을 저해하고 사회구성원 간 불신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데 가짜뉴스는 상업적, 정치적 이익을 취하기 위해 생산, 유통되며 특히 선거철만 되면 정치적 목적을 갖고 가짜뉴스가 만들어 지는 경우가 많아 사회 지도층의 각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짜뉴스가 발붙이지 못하게 사회적 합의를 이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율 캠페인을 통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일도 필요하다”며 “가짜뉴스 해법을 규제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태

김정태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