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류춘열 대전시교육청 감사관(왼쪽)이 학부모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유치원 감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오영균 기자) |
[세계로컬타임즈 오영균 기자] 대전지역 비리 유치원들의 실체가 실명으로 공개됐다.
사립유치원 이사장이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고액의 경비를 챙기고, 업무용 임대차량을 개인용도로 이용하는 등 제멋대로 공금을 사용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시교육청은 그동안 익명으로 발표했던 사립유치원 감사결과를 시교육청 누리집을 통해 실명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감사 결과는 누리집 ‘감사관’ 메뉴의 ‘감사결과공개’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교육청은 지역 유치원을 대상으로 5년 주기로 올해 8월까지 실시한 종합감사에서 모두 162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이번 감사에서 부당하게 예산을 수급한 사실이 확인된 지역 유치원 운영자 1명에 대해서 해임 처리 했지만 그 운영자가결과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여서 이번 결과에서는 실명이 공개되지 않았다.
이날 공개된 감사 결과 일부 유치원은 설립자를 행정직원으로 채용하고 임의로 각종 모임의 회비 등 책정해 사용하다 적발됐다.
특히 2014년에 행정직원으로 채용된 래미안유치원 설립자는 부당한 유치원 회계로 지급 기준이 없는 경비 등으로 1억 8,800만 원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이 유치원 원장은 업무차량을 임대한 뒤 비용으로 6,700여만 원을 지출했으며, 행정 직원이자 설립자 개인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일부 유치원은 이사장 등의 개인 소유의 건물을 임차해 임대료를 지급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예산 역시 제멋대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느리울유치원은 2015년부터 2년간 유치원 건물 재산세를 납부하면서 같은 건물에 있는 이사장 소유의 태권도장에 대해 재산세를 유치원 회계에서 부당하게 지출하다 적발됐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내년에는 감사주기를 학급 규모에 따라 5년에서 3~4년으로 단축해 실시할 것”이라며 “특히 회계분야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자체 감사처분심의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회계집행에 대한 컨설팅 및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