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윤희 서울시의원이 12일 열린 '서울시 및 자치구 직업상담사 고용환경개선 좌담토론회' 참석자들과 파이팅을 외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제공=서울시의회>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서울시의회 이윤희 의원(더불어민주당·성북1)이 12일 서울시의회 별관 2층 대회의실에서 '서울시 및 자치구 직업상담사 고용환경개선 좌담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윤희 의원과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조상호 위원장, 기획조정실 조직담당관 김정호 과장, 일자리정책담당관 정진우 과장 등 80여명의 관계 공무원과 직업상담사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직업상담사의 현황과 고용환경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일자리플러스센터 직업상담사는 25개 자치구 시간선택제임기제마급 공무원 72명으로 취업상담 및 알선, 취업 후 사후관리, 구인·구직 발굴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전담하고 있다.
자치구별 2~3명의 직업상담사는 비정규직으로 최대 5년 범위 내 1년 단위로 계약을 맺고 있고 수년째 동결된 기본연봉 마저 1500만원에 불과하다.
갈수록 증가하는 구직자 상담에 비해 열악한 근무여건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
실제로 토론회에 참석한 한 상담사는 "과중한 실적부담으로 필수 직무교육 참석에도 눈치가 보였으며 신혼인 상담사는 매년 계약문제로 임신을 미루고 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강서구청 김명자 직업상담사는 "25개 자치구 공통사업인 직업상담사의 정규직화를 통해 대민 상담서비스의 질을 제고시키고 축적된 상담노하우와 지역별 구직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일자리 알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자리정책담당관 정진우 과장은 "자치구 직업상담사 인건비를 전액 시비로 지원하고 있으나 고용과 운영을 자치구별로 하고 있어서 25개 자치구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근무여건을 우선적으로 정비하고 시 차원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향후 자치구별 직업상담사 정규직화에 대한 문제를 같이 논의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윤희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자치구 직업상담사의 안정된 고용과 근무여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해 상담 받는 시민들에게 좀 더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취업상담 알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