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대석 의원은 “지난해 부천 호텔 화재 당시 완강기가 작동하지 않아 인명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여전히 숙박시설 객실 내부 완강기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 의원은 “소방본부는 ‘객실 진입이 어렵다’는 이유로 공용공간만 점검하고 있으나, 실제 피난기구는 객실 내부에 설치돼 있어 이는 안전 점검의 핵심을 놓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숙박시설 완강기가 단순히 설치 여부만 확인되는 형식적 점검으로는 재발 방지에 한계가 있다”며 “빈 객실을 대상으로 업소 관계자 협조를 통한 정기적 점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한 장 의원은 “부천 호텔 화재 이후 1년이 지났지만, 경기도 차원의 구체적인 개선계획이 아직 수립되지 않은 점은 심각한 문제”라며 “도민의 생명과 직결된 안전시설에 대한 점검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 의원은 의용소방대 오케스트라 운영의 예산 투명성 문제도 제기했다.
장 의원은 “의용소방대 오케스트라가 1년에 약 4,600만 원의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일부 단원이 의용소방대 본연의 지역 봉사·화재예방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고 공연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며 “이는 의용소방대 설립 목적과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 의원은 “오케스트라 운영이 도민 안전 강화라는 본래의 취지에 맞게 운영되도록 별도 예산 편성 및 참여자 자격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며 “지역 의용소방대 활동과 무관한 인원이 예산을 사용하는 불합리한 구조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장 의원은 “소방본부는 형식적 점검과 보여주기식 행정에서 벗어나 현장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경기 실현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계로컬타임즈 / 이숙영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