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유역환경청, 생태 건강성 회복 노력

민순혜 / 2022-09-13 22:41:15
인공증식 물장군 70개체 방사
지역주민, 학생 참여
▲ 사진=금강청

[세계로컬타임즈 민순혜 기자] 금강유역환경청(청장 정종선)은 13일 충남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소재 ‘백학동 반딧불이 서식지’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물장군 70개체를 방사한다고 밝혔다.

 

방사하는 물장군 개체는 강원도 횡성군 등에서 포획해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인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에서 인공증식한 개체를 가져와 방사하게 된다. 아산지역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많은 서식지가 파괴돼 어느 지역보다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이 필요한 지역이다. 

 

▲ 사진=금강청

이번에 방사하는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584번지 ’백학동 반딧불이 서식지‘는 △5개의 크고 작은 계단식 습지·습원과 △수초에 알을 낳는 습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산란목(부들, 창포, 연꽃 등)과 △먹이가 되는 수생생물(올챙이, 개구리, 도룡농, 미꾸라지 등)이 풍족하며 △서식을 방해할 광원이 거의 없어 물장군 방사의 최적지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에서는 지난 7월 25일 ‘아산지역 멸 종위기종(물장군) 살리기 사업’으로 4개 기관 및 주민(금강유역 환경청, 아산시, 삼성디스플레이㈜,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지역주민)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올해를 시작으로 ‘25년까지 3년간 사업을 추진 계획으로, 총 사업비는 9천만원이 소요된다.
이번 행사는 인근 송남중학교 학생 및 지역 주민들이 방사 행사에 직접 참여해 자연환경 보전의식을 높이고, 지역 주도의 서식지 보호 활동으로 치러졌다.

금강유역환경청 정종선 청장은 "지역주민과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멸종위기종을 복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점차 사라져가는 멸종위기종 복원과 생물다양성의 증진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민순혜

민순혜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