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공명선거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제공=국무조정실>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직장인 김 모 씨는 얼마전 모르는 사람에게 모 대통령 경선 후보를 비방하는 내용의 뉴스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았다.
가짜뉴스에는 모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나라가 망할 것이라는 내용과 우리나라와 북한의 전쟁 시나리오 등의 내용이 담겼다.
김 씨는 "진짜 신문기사와 비슷한 문체의 내용이라 나이든 사람들은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며 "모르는 사람과도 연동되는 카톡 특성상 이런 얼토당토 않은 가짜뉴스를 몇 번씩이나 받게 되는데, 제재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기존 뉴스 형태를 띠고 있고 일정부분 사실에 기반하는 가짜뉴스는 실제 사실 확인이 쉽지 않다는 특징을 지녔다.
전문가들은 '찌라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기성뉴스의 형태로 공신력까지 흉내낸다.
요즘은 기자명과 제목, 조작된 사진까지 첨부해 장난 수준을 넘어섰다는 비판이 거세다.
실제로 가짜뉴스의 파급력은 적지 않다.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트럼프와 관련한 가짜뉴스로 많은 대중이 현혹됐다.
페이스북의 전파력을 타고 힐러리를 비방하는 가짜뉴스와 특정 종교단체장이 트럼프를 지지한다는 등의 가짜뉴스가 전세계에 퍼졌다. 관련 공유만 100만 건에 육박했다.
가짜뉴스의 파급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지자 미국과 일본 등 각 국에서는 가짜뉴스 잡기에 나서고 있다.
우리 정부도 가짜 뉴스 잡기에 나선 상황이다.
잘못된 정보를 담은 내용의 글들이 인터넷에 떠도는 것에 대해 시민 불만이 높아지자 단속에 나서게 된 것.
실제로 지난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도 가짜뉴스 등에 대해 선거범죄라며 전담대책반을 운영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황 권한대행은 "금품선거, 흑생선전, 여론조작, 불법 단체행동, 선거폭력 등 역대 선거에서 빈발했던 각종 선거범죄가 나타나지 않도록 정부 역량을 동원해 단속해야 한다"며 가짜뉴스 잡기에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국방부도 가짜뉴스로 골치를 앓고 있다.
최근 군 복무 단축 내용을 담은 지라시가 인터넷에 나돌자 국방부 측은 27일 "군 복무 단축 가짜뉴스가 시중에 떠돌고 있다며 가짜뉴스에 현혹되지 말라"며 당부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SNS 등으로 무차별 확산되는 특성이 있는 가짜뉴스의 경우 법적 처벌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를 이용한 가짜뉴스 판단하는 기술 개발, 이용자의 비판적 사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