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월호 선체 수면 13m 인양과 고박작업 중인 모습. <사진=연합뉴스tv 화면 캡쳐>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세월호 선체 수면 13m 인양과 고박작업이 24일 오전 중에 완료 예정된다.
해양수산부 세월호선체인양추진단은 이날 오전 수면 위 13m 선체 인양과 잭킹바지선과 선체간 고박 작업 및 완충재(공기) 주입을 오전 중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23일 밤 긴급 결정으로 세월호 좌현 선미램프 제거작업을 24일 오전 6시45분 완료했다.
진행 중인 준비작업이 마무리되면, 반잠수식 선박이 대기 중인 곳(남동쪽으로 약 3km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잭킹바지선의 묘박줄(mooring line)을 회수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기상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작업인 수면 위 13m 인양에서부터 반잠수식 선박에 선적하는 공정이 소조기 마지막 날인 오늘까지 완료돼야 남은 인양공정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
따라서 해수부 측은 이날 자정 전까지 반잠수선 선적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현재 세월호에서 기름이 새어나와 기름 방재작업도 함께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 지난 23일 오전 10시쯤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 맹골수도에서 3년 동안 물밑에서 잠들어 있던 세월호가 잭킹바지선 사이로 떠올라 옆으로 길게 누워 있다. <사진=세계일보 하상윤 기자> |
24일 주요 작업은 ①수면위 13m 인양 및 2차 고박 등 공정 ②잭킹바지선의 묘박줄(mooring line) 회수 등 이동을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 ③반잠수식 선박이 대기하고 있는 장소(남동쪽으로 약 3km 지점)로 이동 ④세월호를 반잠수식 선박 위 계획된 위치로 이동해 선적 ⑤반잠수식 선박을 부양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인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양 유류오염에 대비해 현재 해경과 해양환경관리공단(KOEM), 상하이샐비지의 방제선(16척)이 작업해역에 대해 3중 방체체제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이철조 단장은 "오전까지 선미램프 제거가 완료되면서 후속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며 "현장변수가 많고 불확실성이 큰 인양작업의 특성을 염두해 각 공정별로 끝나는 순간까지 긴장을 늦추면 안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