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강연에서 우석훈 작가는 급격한 출생아 수 감소와 인구 구조 변화가 한국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경제, 노동시장,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분석하며,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사회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 작가는 “저출생 문제는 특정 계층이 아닌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현상”이라며 “앞으로는 협력 중심의 교육 체계, 아동 인권 강화, 지역 기반의 미래 전략이 새로운 시대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병훈 태안도서관장은 “급변하는 인구 구조 속에서 지역과 개인의 미래를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인문학적 통찰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지역 사회의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